논문 상세보기

무형문화재를 응용한 장신구 디자인 모델 연구 - 처용무 동작 분석을 중심으로 - KCI 등재

A Study on the Jewelry Design with the Motif of the Intangible Cultural Asset through Analysis of Cheoyongmu Mo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0835
  • DOIhttps://doi.org/10.18555/kicpd.2016.47.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Korean Institute of Cultural Product Art & Design)
초록

본 연구는 모션 캡처 기술을 통해 처용무의 동작을 시각화하고 장신구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처용무는 현재 남아 있는 궁중 무용 가운데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니며, 역동적인 춤 동작과 오방색의 화려한 의상에는 삼국유사 설화를 바탕으로 한 시대적 배경이 반영되어 있다. 이에 연구자는 무형문화재 가운데 처용무를 연구 소재로 선정하여 현대 장신구 연구 소재의 범위를 확장시키고자 하였다. 현시점까지 한국 문화를 접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는 문화의 표면적인 외형 이미지를 그대로 본뜬 방식으로 이루어져왔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여 연구자는 중요무형문화재, 처용무를 중심으로 무용 동작을 시각화하여 장신구 디자인 모델에 적용하고자 한다. 동작 분석 범위는 처용무의 조형적 가치와 역사적 상징을 고려하여 3가지 동작으로 유형화, 추출한다. 또한 탐구를 통해 추출한 구분 동작의 분석 결과를 밝히고 장신구 디자인 모델에서의 무형문화재, 춤 동작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존의 한국 문화 장신구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통문화를 소재로 한 폭넓고 다채로운 디자인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research aims to visualize Cheoyongmu movement through the motion capture technology and its applicability to jewelry designing. Among the remaining royal court dances, Cheoyongmu has been around the longest in history. Within its dynamic dance movement and resplendent costumes of five colors, known as Obangsek, reflect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amguk Yusa, the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Thus the researcher chose to focus on Cheoyongmu among other intangible cultural assets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research materials for modern jewelry. Until now, study of ornamental design with emphasis on Korean culture has been conducted by replicating the external appearance of cultural images. Stemming from such awareness, the researcher seeks to focus on Cheoyongmu, an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visualize dance movement to apply to designing jewelry models. The scope of motion analysis is classified and extracted into three movements, with consideration to Cheoyongmu’s formative value and historical symbol. In addition, the result of the extracted distinct movements was analyzed and uncovered, and the applicability of intangible cultural asset and dance movements to jewelry design was further explored.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aspires for Korean cultural jewelry designs to overcome the existing limitations, and lead to a wide variety of design studies and research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저자
  • 허수정(단국대학교 일반대학원 조형예술학과 금속조형디자인) | Heo, Su Jeong 주 저자
  • 윤여경(대진대학교 예술대학 디자인학부 시각정보디자인) | Yoon, Yeo Ky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