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69

        1.
        2024.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 earthquakes in Korea, like Gyeongju and Pohang, have highlighted the need for accurate seismic hazard assessment. The lack of substantial ground motion data necessitates stochastic simulation methods, traditionally used with a simplistic point-source assumption. However, as earthquake magnitude increases, the influence of finite faults grows, demanding the adoption of finite faults in simulations for accurate ground motion estimates. We analyzed variations in simulated ground motions with and without the finite fault method for earthquakes with magnitude (Mw) ranging from 5.0 to 7.0, comparing pseudo-spectral acceleration. We also studied how slip distribution and hypocenter location affect simulations for a virtual earthquake that mimics the Gyeongju earthquake with Mw 5.4. Our findings reveal that finite fault effects become significant at magnitudes above Mw 5.8, particularly at high frequencies. Notably, near the hypocenter, the virtual earthquake’s ground motion significantly changes using a finite fault model, especially with heterogeneous slip distribution. Therefore, applying finite fault models is crucial for simulating ground motions of large earthquakes (Mw ≥ 5.8 magnitude). Moreover, for accurate simulations of actual earthquakes with complex rupture processes having strong localized slips, incorporating finite faults is essential even for more minor earthquakes.
        4,000원
        2.
        202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Limitations of shoulder range of motion (ROM), particularly shoulder internal rotation (SIR),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musculoskeletal disorders in bo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athletes. The limitation can result in connective tissue lesions such as superior labrum tears and symptoms such as rotator cuff tears and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Maintaining the center of rotation of the glenohumeral joint during SIR can be challenging due to the compensatory scapulothoracic movement and anterior displacement of the humeral head. Therefore, observing the path of the instantaneous center of rotation (PICR) using the olecranon as a marker during SIR may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understanding the dynamics of the shoulder joint. Object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compare the displacement of the olecranon to measure the rotation control of the humeral head during SIR i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restricted SIR ROM. Methods: Twenty-four participants with and without restricted SIR ROM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displacement of olecranon was measured during the shoulder internal rotation control test (SIRCT) using a Kinovea (ver. 0.8.15, Kinovea), the 2-dimensional marker tracking analysis system. A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olecranon marker between individuals with and without restricted SIR ROM.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p < 0.05. Results: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olecranon was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restricted SIR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p < 0.05).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olecranon (p > 0.05).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individuals with restricted SIR ROM had significantly greater vertical displacement of the olecran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limitation of SIR ROM may lead to difficulty in rotation control of the humeral head.
        4,000원
        3.
        202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해양 부유식 구조물의 계류시설에 대한 연구는 다양한 계류 시스템의 개발과 그 효율성에 대해 지 속적으로 연구되어 왔다. 계류 시스템은 구조물의 안전성, 내구성, 그리고 환경적인 책임을 모두 고려 해야하는 복합적인 설계 요소이다. 기존 계류바익은 해저지반의 특성에 크게 의존하며, 넓은 점유 면 적으로 인해 해양환경과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러한 기존 계류시스템의 한계와 문제 점에 대응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계류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된 계류시스템은 계류 선이 해저지반에 고정되지 않고 중력식 기초 구조물을 거쳐 중간부력재에 연결된다. 중간 부력재는 상 시 과잉 부력상태로 상향력이 작용하며, 이로인해 계류선에 초기장력이 유도되며 전체 시스템에 강성 을 도입한다. 전체적으로 Semi-taut과 유사한 방식으로 계류 장력 변화에 따른 상단 플랫폼의 운동 제어와, 중간 부력재와의 상호연계 거동효과로 추가적인 동적 응답 저감이 기대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된 신형식 계류시스템의 역학적 거동특성을 수치해석적으로 구현하고 파랑에 대한 Catenary system 대비 운동 저감 성능을 검증하였다.
        4.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방사형 K-공간 획득 기법 중 하나인 JET 기법을 적용하여 어깨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에서의 움직임 인공물과 노이즈를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다. 2023년 2월 1일부터 3월 31일까지 어깨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를 받 은 35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평가는 JET 기법 적용 여부에 따라 신호 대 노이즈 비, 평균 대 표준편차 비, 움직임 인공물 발생 여부에 대한 영상 평가를 수행하였다. JET 기법을 적용한 그룹에서는 신호 대 노이즈 비, 평균 대 표준편차 비, 움직임 인공물 발생 여부에 대한 영상 평가 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본 연구를 통해 어깨관절 자기공명영상 검사 시 JET 기법의 도입은 움직임 인공물의 감소뿐만 아니라 신호 대 노이즈 비와 평균 대 표준편차 비가 향상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JET 기법이 어깨관절 영상 취득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더 나아가 다양한 부위에 적용되는데 있어 서도 기여할 수 있을것으로 예상된다.
        4,000원
        5.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bilization with movement (MWM)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for increasing range of motion (ROM) and function without pain.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characterize the functional effects of MWM applied to the ankle joint in patients with stroke. Design: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ethods: International electronic databases, CINAHL, Embase, MEDLINE, PubMed, and Google scholar were included and identified after review by two investigators in July 2023 according to PRISMA guidelines. Data were synthesized using software provided by Cochran and analyzed using a random effects model with reweighting to account for heterogeneity between participants. Results: After excluding duplicate studies, 14 of the 19 articles screened through the abstracts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total of five studies involving 109 participants with stroke. MWM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nkle ROM [overall effect (Z=3.27, P=0.00)], gait speed [overall effect (Z=3.33, P=0.00)], and cadence [overall effect (Z=2.49,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confirmed that MWM is effective in improving ankle ROM and gait parameters in patients with stroke.
        4,000원
        6.
        202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Among the various rehabilitation methods for stroke patients, one method involves the use of vibration. Recently, vibration foam rollers, combining vibration with foam rolling, have been developed and are widely used.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ibration foam rolling on ankle range of motion (ROM), and gait speed in patients with stroke.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rty stroke patients volunteered to participate and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vibrating foam roller group (n=15) and the non-vibrating foam roller group (n=15). Active dorsiflexion ROM, and 10-meter walk (10MW) were used to evaluate ankle ROM, and gait speed before and after each exercise. The two groups performed a 30-minute foam roller exercise program. The non-vibrating foam roller group performed the same exercise program as the vibrating foam roller group, but without vibration. Results: The within-group change in active dorsiflexion ROM after the exercise was significant for both the vibrating foam roller group and the non-vibrating foam roller group (P<.05). The within-group change in 10MW after the exercise was significant for the vibrating foam roller group (P<.05), while it was not significant for the non-vibrating foam roller group (P>.05). Additional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ctive dorsiflexion ROM and 10MW between the vibrating foam roller group and the non-vibrating foam roller group (P>.05).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a vibrating foam roller exercise program immediately improves ankle ROM and gait speed in stroke patients.
        4,000원
        7.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s for craniovertebral angle (CVA), head rotation angle, range of mo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Immediate effects of sling neurac exercise 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neck postural alignment in adults with forward head posture. Design: Quaxi-experimental study. Methods: Fifty young adults in their 20s were divided into a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and a control group (CG). SNEG conducted sling neurac exercise intervention for one day, and CG did not implement interventio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before and after exercise was evaluated for each group. Results: In the sling neurac exercise group (SNEG), CVA, cranial rotation angle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improved significantly after intervention (all P<.01).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ontrol group (CG) (all P>.05). After the interven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craniosacral angulation, ROM, and postural alignment (all P<.01). Conclusion: The Sling neurac exercise can significantly improve CVA, CRA, ROM, and postural alignment.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consider sling neurac exercise as an intervention.
        4,000원
        8.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Most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tension-type headache (TTH) focus on direct intervention in areas associated with headaches, with limited research exploring the indirect effects of interventions utilizing the fascia. Objective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uperficial back line (SBL) stretching and head-neck massage interventions on the range of motion (ROM) and neck disability index (NDI) of TTH. Design: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llocated into three groups: SBL stretching group (n=9), head-neck massage group (n=9), and combined group (n=9). Prior to the intervention, measurements were taken for neck flexion ROM, straight leg raising test (SLRT) ROM, and NDI.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30-minute sessions conducted twice a week for 8 weeks. The second measurement took place 4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followed by a third measurement conducted after an additional 4 weeks of intervention. Results: Comparing neck flexion ROM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observed in the SBL stretching group after 8 weeks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P<.05). Regarding the comparison of SLRT ROM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increase was noted after 8 weeks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in the SBL stretching, head-neck massage, and combined groups (P<.05). In terms of the comparison of NDI within each group,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in all three group after the intervention compared to before the intervention (P<.05). Conclusion: 8-week intervention involving SBL stretching, head-neck massage, and their combined application demonstrated effectiveness in improving neck flexion ROM, SLRT ROM, and the NDI for individuals with TTH.
        4,000원
        9.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회성 발목가동성 운동프로그램이 만성적인 발목불안정성(CAI)에 나타나는 발목가 동범위와 통증 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발목불안정성 설문지 검사에 서 좌, 우측 평균 점수가 24점 이하인 성인여성 20명을 선정 하였으며 집단은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프 로그램 집단(Ankle mobility exercise program, AE, n=10)과 대조군(CON, n=10)으로 구분하였다. AE 처 치는 일회성 운동에 대한 반응을 확인하기 위해 좌·우측 발목을 각각 1회(20분) 실시하였으며 처치 전후 발목불안정성 검사, 통증 및 발목가동범위를 확인하였다. 먼저 AE 프로그램을 실시한 AE 집단의 통증 수 준은 사전과 비교하여 사후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1). 또한 AE 프로그램 처치한 AE 집 단에서 배측굴곡이 사전과 비교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일회성 발목 가동성 운동 프로그램은 CAI에서 나타나는 발목 통증과 발목의 가동범위를 개선시켜 결과적으로 발 목 불안정성을 완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 중재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4,000원
        10.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에 선박을 안전하게 설계 및 운항하기 위해 인공지능으로 운동성능을 예측하는 연구가 늘고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선박 에 비해 소형 어선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소형 어선의 운동성능 계산에 필수적인 운동응답을 심층신경망으로 추정하는 모델을 제안한다. 15척의 소형 어선에 대하여 유체동역학 해석을 수행하였으며 이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환경 조 건과 주요 제원을 입력 데이터로, 단위 파고에 대한 운동응답(Response Amplitude Operator)을 출력 데이터로 설정하였다. 훈련된 심층신경 망 모델을 통해 예측된 운동응답은 유체동역학 해석 결과와 유사한 경향을 보이며 고주파 성분을 가진 운동응답 함수를 낮은 오차로 근 사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어선의 선형 특성 고려한 심층신경망 모델로 확장하여 연구 결과의 활용도를 넓히 고자 한다.
        4,000원
        11.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virtual reality (VR)-based content on surgical aseptic techniques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content was developed following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involving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xperts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validated the content for its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conten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2 to April 2023. Results: The VR content was developed using Keller's ARCS motivational design model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the fundamental strategy. Upon applying the VR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irmed the values of the following sub-factors: confidence (3.86 out of 5), relevance (3.74 out of 5), attention (3.68 out of 5), and satisfaction (3.65 out of 5). Conclusion: VR-based surgical content on aseptic techniques demonstrates potential benefits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rough systematic development and utilizing of diverse nursing skill content, we can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providing them with high-quality practical education.
        4,800원
        12.
        202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ed to develop virtual reality (VR)-based content on surgical aseptic techniques for nursing students and evaluate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content was developed following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involving analysis, desig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Experts and fourth-year nursing students validated the content for its validity and usability of the content. The study was conducted from December 2022 to April 2023. Results: The VR content was developed using Keller's ARCS motivational design model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as the fundamental strategy. Upon applying the VR content developed in this study,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firmed the values of the following sub-factors: confidence (3.86 out of 5), relevance (3.74 out of 5), attention (3.68 out of 5), and satisfaction (3.65 out of 5). Conclusion: VR-based surgical content on aseptic techniques demonstrates potential benefits for nursing students. Therefore, through systematic development and utilizing of diverse nursing skill content, we can enhance the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providing them with high-quality practical education.
        4,800원
        14.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각판의 움직임은 오일러 극(Euler pole)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운동으로 나타낼 수 있다. 우리는 먼저 지역적 지각판의 속도자료로부터 해당 판운동의 오일러 벡터를 근사적으로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1) 관측된 판속도자료로부터 평균 가상 오일러 극을 먼저 구하고, 2) 평균가상극과 관측지역의 중심을 통과하는 대원 위의 점들을 각각 극으로 설정하여, 3) 얻어지는 각 임시적 가상 모델의 판운동속도와 관측속도와의 차이의 제곱들의 합을 반복하여 구한 다음, 그 값이 최소가 되도록 보간법(interpolation)으로써 오일러 벡터를 결정함. 그런데 최근 우리는 이 와 근본적 개념은 같으나(최소제곱법), 제곱오차의 합의 편미분계수가 0이 되는 조건으로부터 곧바로 오일러 벡터를 결 정하는 알고리즘을 추가적으로 개발하였으며, 이 개선된 방법으로 판운동의 오일러 벡터를 보다 더 정확하게 산출하게 되었다. 한편 이 두 가지 방법을 최근 수년간의 한반도의 GPS 지각속도자료에 각각 적용하여 한반도 지각판의 오일러 벡터를 구하였으며, 얻어진 두 결과를 비교하였다.
        4,000원
        16.
        202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소형어선의 운동 응답을 예측하기 위해 딥러닝 모델을 구축하였다. 크기가 다른 두 소형어선을 대상으로 유체 동역학 성능을 평가하여 데이터세트를 확보하였다. 딥러닝 모델은 순환 신경망 기법의 하나인 장단기 메모리 기법(LSTM, Long Short-Term Memory)을 사용하였다. 딥러닝 모델의 입력 데이터는 6 자유도 운동 및 파고의 시계열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출력 라벨로는 6 자유도 운동의 시계열 데이터로 선정하였다. 최적 LSTM 모델 구축을 위해 hyperparameter 및 입력창 길이의 영향을 평가하였다. 구축된 LSTM 모 델을 통해 입사파 방향에 따른 시계열 운동 응답을 예측하였다. 예측된 시계열 운동 응답은 해석 결과와 전반적으로 잘 일치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시계열의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서 예측값과 해석 결과의 차이가 발생하는데, 이는 장기 데이터에 따른 훈련 영향도가 감 소 됨에 따라 나타난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체 예측 데이터의 오차는 약 85% 이상의 데이터가 10% 이내의 오차를 보였으며, 소형어 선의 시계열 운동 응답을 잘 예측함을 확인하였다. 구축된 LSTM 모델은 소형어선의 모니터링 및 경보 시스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4,000원
        17.
        2023.08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부 근막통증증후군이 있는 직장인 44명을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 그룹과 대조군으로 나누어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가 요부 통증 및 관절 가동성 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일주일에 3회, 6주 동안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 그룹은 호호바 오일 약 3㎖를 도포하고 대조군은 오일 없이 요추부위 에 쓰다듬기 테크닉을 적용하였다. 실험 전후를 비교한 결과 캐리어 오일 피부마 사지 그룹에서 시각 통증 상사척도, 압통 역치, 요부 관절가동성에서 유의한 효과 가 있었다. 따라서 캐리어 오일 피부마사지는 요부 근막통증증후군에 적용하였을 때 물리치료 도수기법 프로그램 및 대체 요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4,300원
        18.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nd Respiratory Muscle Exercise may help address the complex biomechanical and neuromuscular issues that contribute to shoulder joint disorders and can help improve patient outcomes in terms of pain relief, range of motion, and functional ability. Objectives: T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conventional physical therapy,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and respiratory muscle exercise, on the Range of Motion (ROM), ULF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disorder. Desig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Methods: This study randomly allocated 18 subjects to the control group, 19 to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and 19 to the respiratory muscle exercise group, while all interventions were performed five times a week for four weeks. The result measurement involved the ROM, the upper limb function test (ULT), and balance tests. Results: The respiratory muscles exercise group indic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ROM and balance tests than the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on: The respiratory muscle exercise is a more effective way to improve ROM and balance ability than trunk stabilization exercise for patients with shoulder joint disorder.
        4,000원
        19.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미디어아트와 공연예술 분야에서 예술과 기술의 융합을 활용한 다원예술의 공연들이 늘어나고 있다. 공연 자와 관객들 사이의 실시간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공연예술은 관람객들이 전시의 형태로 이를 감상하는 미 디어아트와는 달리, 작가의 의도를 공연자의 퍼포먼스와 배경, 무대장치들을 통해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형태를 취한다. 본 연구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형태로 관객들의 실시간 소통이 중요한 예술공연에서, 게임엔진과 실시간 인터렉션 기술들을 접목한 공연사례들을 분석해보자 한다. 게임과 영상 분야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언리 얼 엔진과 비주얼 인터렉션 기술들은 실시간 리얼타임 비주얼 출력이라는 강력한 이점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고, 예술공연 분야로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따라서 미디어아트 공연분야에서 실시간 인터 렉션 기술이 접목된 다원예술 공연들을 살펴보고 어떠한 시도와 움직임들이 있는지 살펴보고 분석해보고자 한 다. 이를 통해 미디어아트 분야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 및 다원예술 분야에서도 미디어아트와 실시간 인터렉션 공연을 접목시킨 다양한 형태의 예술공연들이 늘어나고 관련 제작 및 방법론 연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4,000원
        20.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양레저활동 인구증가 및 관련 산업의 급성장으로 인해 레저 선박을 접안하는 계류시설과 부유체를 기반으로 하는 해상부유 식 펜션 등 레저시설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안에서 사용되는 부유체는 대부분 경량 부유체로서 중량이 상대적으로 경량이므 로 연안으로 유입되는 파(Wave)와 상재 하중에 의해 쉽게 경사가 발생하여 안정성이 낮아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런 문제점 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부유체의 운동저감장치를 연구하여 알리고자 한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부유체에 운동저감장치(기압차를 이용한 운 동저감장치)를 부착하여 운동저감효과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와 비교하는 방식으로 효과를 분석하였다. 효과분석은 전산해석시험으로 분석하여 부유체의 안정성 증가방법을 연구하고 그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시험결과 분석결과 기압차를 이용한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한 부유체가 운동저감장치를 부착하지 않은 부유체보다 파랑에 대한 운동량이 저감되어 부유체의 안정성이 증가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 한 부유체의 운동저감 장치는 무동력 선박뿐만 아니라 동력선, 반잠수식 선박에서도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어 다양한 분야에 적 용하여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다.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