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각의 用途 변천에 관한 연구 KCI 등재

A study on the use of the transition process Seal Engraving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426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4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전각은 인류 문명의 시작과 그 궤를 같이 하면서 많은 변화와 발전이 있어 왔다. 그 표현대상에 있어서도 초기 신석기 시대 도기에 찍었던 문 양에서부터 도상·도안·문자로 변천하였으며, 그 용도 또한 실용과 신 표의 표시에서 완상용·주술용으로 변모하여 당시 사람들의 토템이즘과 샤머니즘을 표현하는 대상으로 여겨지기도 하였다. 이러한 용도의 변화는 당시 사람들의 시대의식 및 민속의식과도 밀접 한 관련이 있어서 부귀·장수·벽사·압승용으로 차고 다니는 애장용으 로 까지 발전하였다. 특히 圖像印을 통해서는 祈福의 의미가 강화되어 위진남북조시대의 도교인들은 산속에 기도하러 갈때도 맹수나 귀신을 쫓기 위해 <황신월 장>이라고 새긴 인장을 차고 갔으며, 이러한 풍습은 도상인의 예술성을 더욱 드높게 하여 원대의 押印으로 발전하였으며, 명청대 이후 독자적인 예술로 체계를 갖추게 하였다. 즉 단순한 실용에서 독자적인 예술체계를 확립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많은 용도 변천이 있었으며, 이 과정에서 출현한 전각작품들의 형식과 내용을 통해 전각이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찾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전각이 단순한 실용적, 예술적 예술분야의 산물만 이 아니라 인류의 문명과 더불어 생성되고 변천되면서 발전한 역사적 유 물로서의 가치가 매우 높음을 조명하여 그 가치를 드높이고자 하였다.

Seal engraving has been through many changes and development in sync with history of mankind. The object of expression changed from pattern imprinted in early New Stone Age to iconograph · design · letter, and its usage also changed from utility and token of belief to enjoyment and incantation. Therefore, It was considered as object of expressing Totemism and Shamanism at that time. These changes of usage are closely related to awareness of that time and folk rituals, so it eventually developed into ornamental purposes as wealth · long life · Beoksa · Ap-seung. Especially, the meaning of prayer was strengthened through Iconographic seal, so Taoists of the period of Wei, Qin, North and South Dynasties wore seal engraved <Hwang-sin-wol-jang> when they went mountains for praying to drive away beasts and evil spirits. And this custom raised artistic value of Iconographic seal so it developed into sealing in Won Dynasty and after Ming and Qing Dynasty it systemized into independent art. In other words, there were many changes in us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independent art system from simple utility. And I found the meaning of Seal engraving and symbolism through form and content of Seal engraving emerged from these process.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raise the value of Seal engraving as historical legacy developed and changed with history of mankind not just as simple practical, artistic produ

저자
  • 이승연(원광대학교) | Lee, Seung-y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