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을 이용한 도시재생 방안 KCI 등재

Urban Regeneration Planning Using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6951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300원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와예술연구 (문화예술연구))
초록

본 연구는 장소특정성을 살린 그라피티를 이용하여 도시를 재생시키 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론적 배경 스터디와 사례분 석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장소특정성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 해 공공미술의 장소특정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론에서 는 공공미술이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듯이,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은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개념으로 다루고 있 으며 많은 공공미술 사례를 통해 장소특정성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공미술로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현 대의 그라피티는 과거의 낙서 수준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더욱 친밀하게 다가선 거리미술로서 공공미술과 마찬가지로 장소특정성이 있으며 지역 적 특수성과도 상관관계를 맺고 있고 심지어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 이션 효과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인,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을 이용 한 도시재생 방안을 찾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해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두천에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 을 위한 보산동관광특구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고 이론적 배 경에서 제시된 장소특정성 공공미술의 중요한 요소 세 가지를 분석의 틀 로 이용하여 분석한 후, 그라피티 조성사업에서 장소특정성을 보완하는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언한 내용은 세 가지로, 그라 피티 작품과 장소는 상관관계를 맺어야 하며 참여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과 공공미술로서 지역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공 공의 표현매체로서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고려해야 한 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동두천의 특수한 장소적 맥락에 따라 장소특 정성이 강화된 그라피티를 이용했을 때, 그라피티가 도시재생에 긍정적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d an urban regeneration plan using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Toward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Firs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ite-specificity, the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ite-specificity of public art. As public art signifies “art linked to a site,” site-specificity in public art is a concept begging for serious consideration, and many cases of public art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site-specificity. Furthermore,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Today, graffiti are no longer scribbles, but a form of street art that has become familiar to the public, and like public art, they too pose site-specificity so much so that they are correlated to local specificity as well as social influence and communication effects. To explore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which is the aim of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graffiti promotion project promoted by a local government for urban regeneration.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Graffiti Promotion Project in the Bosan-dong Tourist Special Zone that Dongducheon is currently promoting for urban regeneration, examined the three key elements of site-specificity in public art,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using the analytic framework, and presented som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site-specificity in a graffiti promotion project. The implications resulting from the analysis can be considered in three aspects: first, graffiti should be correlated to place and participants’ proactive intervention; second, graffiti as public art need to consider locality; and third, graffiti should consider social influence and communication effects as the expressive medium of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ighlight the positive contribution graffiti can make to urban regeneration when graffiti with enhanced site-specificity are u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lly local context of Dongducheon.

저자
  • 임병우(신한대학교 디자인학부 산업디자인전공) | Lim, Byung-W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