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원자력 중대 사고에 대비한 영동 지역 일라이트의 방사성 세슘 흡착 특성 평가 KCI 등재

Application of Yeongdong Illite to Remove Radiocesium for Severe Nuclear Acci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793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광물과 암석 (Korean Journal of Mineralogy and Petrology)
한국광물학회 (The Mineralogical Society Off Korea)
초록

본 연구는 원자력 중대 사고 시, 환경에 유출된 방사성 세슘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충북 영동 지역 일라이트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영동 일라이트는 운모질 편암의 열수변질 작용에 의해 형성되었으며, 주요 구성 광물은 석영, 장석, 일라이트이다. 저농도 세슘 용액을 사용한 회분식 흡착 실험 결과, 영동 일라이트의 흡착 분배 계수(Kd)는 약 4,200 L kg-1으로 다른 점토 광물에 비해 비교적 높은 값을 가지며, 이는 일라이트에 존재하는 풍화된 모서리면(FES)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영동 일라 이트와 세슘의 흡착등온선은 비선형 흡착 특성을 나타내며 단일 표면 한계 흡착 능력이 250,000 μg kg-1으로 우수한 흡착능을 보여주어 방사성 세슘 흡착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입증하였다. 이러한 결 과는 추후 방사능 누출 사고 등의 긴급 상황 발생 시, 영동 지역 일라이트를 오염 확산 방지 및 정화 작업에 사용하기 위한 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evaluated potential application of illite, which is produced at Yeongdong area in Korea, to remove radiocesium released to environmental system through severe nuclear accidents. The Yeongdong illite was formed by metamorphose of micaceous schist in hydrothermal condition, and composed of quartz, illite, and albite. Sorption distribution coefficient (Kd) of cesium by the Yeongdong illite was higher than the Kd values for other clay minerals. It may be affected by preferential adsorption of cesium to Frayed Edge Sites (FES) on illite. Nonlinear isotherm models were suitable to describe the sorption processes for the Yeongdong illite. Its max. single layer capacity was 250,000 μg kg-1 for cesium. Therefore, the Yeongdong illite could be an efficient and economic sorbent to prevent dispersion of radiocesium, and apply for remediation.

저자
  • 전소담(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Sodam Jeon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Korea))
  • 한정희(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부) | Jeong-Hee Han ((Division of Ear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 박찬수(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부) | Chan-Soo Park ((Division of Ear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 정성욱(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지구환경연구부) | Sungwook Choung ((Division of Earth and Environmental Research, Korea Basic Science Institute, Korea)) Corresponding author
  • 황정환(연세대학교 지구시스템과학과) | Jeonghwan Hwang ((Department of Earth System Sciences, Yonsei University,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