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약용식물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음료의 생리활성 및 체내 알코올 분해 효능 KCI 등재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A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82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농업생명과학연구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가 항산화 및 알코올 분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약용식물 추출물의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DPPH radical 소거활성 및 ALDH(aldehyde dehydrogenase) 활성을 측정하였고, 약용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숙취해소 음료의 복용이 음주 후 호흡 중 알코올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은 빼빼목 추출물 에서 높은 수치(total phenolic compound 97.5.6mg/g, total flavonoid 306.5mg/g, DPPH radical 소거능 80.1%)를 나타냈으며 Acetaldehyde(ALDH)에 대한 활성은 헛개 및 울금 추출물에서 306% 및 292%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어, 헛개 및 울금 추출물이 ALDH 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헛개 및 울금 추출물이 함유된 숙취해소 음료를 이용하여, 임상실험을 실시한 결과, 시간경과에 따라 대조군에 비해 숙취해소음료 섭취군에서 알코올 농도가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흡연자에 비해 비 흡연자가, 남성에 비해 여성에게 숙취해소 음료의 섭취가 더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In this study, the effect of hangover drink using medicinal plant extracts on antioxidant and alcohol-degrading activity was observed in vitro and in vivo tests including total phenolic compound content, total flavonoids conten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LDH activity and alcohol concentration. Total phenolic compound(975.6 mg/g), total flavonoid(306.5 mg/g), DPPH radical activity(80.1%) showed a high level in the Cornus walteriextract. ALDH activity of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Curcuma longa Linne extract were three times higher than control. In the human body experiment, alcohol concentration of hangover drink group was of decreased faster than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hangover drink was more effective for smokers than nonsmokers, female compared with male.

저자
  • 이원희(경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임산공학과) | Won-Hee Lee (Department of Wood Science & Technology,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41566, Korea)
  • 정지영(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i Young Jung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하시영(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Si young Ha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 양재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환경산림과학부(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ae-Kyung Yang (Division of Environmental Forest Science(Institut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Kore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