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새로운 화장료 함침재의 개발과 이를 활용한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한 연구 KCI 등재

Development of the Novel Cosmetics Impregnation Material and Study on Makeup W/O Emulsions using I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526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대한화장품학회지 (Journal of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대한화장품학회 (The Society of Cosmetic Scientists of Korea)
초록

지금까지 저점도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을 함침재에 침적시켜 휴대 간편성과 사용 편리성을 높인 화 장품이 개발되어 왔다. 종래에는 주로 경도가 높고 다공의 망상구조를 갖는 폴리우레탄 스펀지가 함침재로서 사용되어 왔으며, 이러한 스펀지는 구조적인 특성상 화장료 함침이 잘 되기 때문에 제조가 용이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초기 토출량이 높고, 사용 횟수에 따라 토출량의 감소가 큰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발포형태의 스펀지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특징을 갖는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에 관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우선 상기 목적에 맞는 다양한 소재를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natural rubber (NR)와 styrene butadiene rubber (SBR)의 조합을 통해 성형성이 우수하며 화장료 조성물의 적절한 흡수 및 배출 능력을 가지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하였다. 이러한 함침재는 고무와 같은 탄성성질의 부드러 움과 높은 신율 및 균일한 토출력을 가지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되는 여러 종류의 오일의 극성도(polarity)에 따른 신규 스펀지의 특성을 이해하고, 메이크업 유중수형 에멀전의 점성을 조절하여 메이크업 제품 개발이 가능함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새로운 특성을 갖는 화장료 함침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Up to now, better convenience and portability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smetics and achieved by immersing low viscosity makeup water-in-oil (W/O) emulsion into the impregnation material. Conventionally, polyurethane sponges having porous network structures and hard textures have been dominantly used. It has an advantage of easy to manufacture because of its good impregnation property due to its structural characteristics. However, it releases emulsion too much at first use, and shows unexpected dramatic decline during the period of usage. In this study, we studied on makeup W/O emulsion with various features and developed the new foaming sponge, which showed excellent formability and proper absorption and discharge ability of cosmetic composition through the combination of natural rubber (NR) and styrene butadiene rubber (SBR). This impregnation material is characterized by the softness of elasticity like a rubber, high elongation and uniform output. We confirmed that this material can be used to develop makeup products using various oils depending on polarity and controlling the viscosity of the makeup W/O emulsion. Thus, it is concluded that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in developing new cosmetics impregnation materials.

목차
1. 서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Reference
저자
  • 강성수((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Sungsoo Kang 주 저자
  • 김현정((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Hyeon Jeong Kim
  • 오세웅((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Se Woong Oh
  • 박상욱((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Sang Wook Park
  • 김경섭((주) LG 생활건강 기술연구원) | Kyung Seob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