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성복의 감성 및 선호 스타일과 실제 착용간의 차이 KCI 등재

Differences Between Wearing Styles and Preferring Styles and the Sensibility According to Men's Fashion Sty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2994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감성과학 (Korean Journal of the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한국감성과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Emotion & Sensibility)
초록

시대가 급속히 변화함에 따라 남성의 라이프 스타일, 개성, 가치관 등이 다양하며 과거에 비해 남성복에 대한 기호도 변하였을 뿐만 아니라 또 남성복 시장이 증대되었고 전에 없던 새로운 스타일이 많이 등장하였으나 활발한 여성복 감성 연구와 달리 남성복의 스타일에 따른 감성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20대 남성들이 주로 착용하는 스타일을 7가지 대표 자극물로 선정하고 자극물로 제시하여 각 스타일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을 조사하였다. 스타일 1 (정장), 스타일 2 (라이더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3 (블루종+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4 (박시한 가디건+하프 팬츠), 스타일 5 (야전상의+스트레이트 팬츠), 스타일 6 (루즈핏 재킷+스키니 팬츠), 스타일 7 (야구점퍼+스트레이트 팬츠) 등 남성복 스타일에 따른 감성의 차이를 조사하였으며 성별에 따른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정도 차이를 비교하였고 남성복의 선호와 실제착용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고 라이프 스타일 유형에 따른 선호하는 스타일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남성복은 다양하고 세분화되었고 남성복에 대한 관심과 지식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남성복에 대한 감성은 스타일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이는 성별에 따라 다르지 않았다. 셋째, 20대가 가장 선호하는 선호스타일과 실제로 즐겨 입는 착장스타일 간에는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일치하는 비율은 66.1% 이었고, 불일치하는 경우는 33.9% 이였다. 선호도와 실제 착용도가 가장 높은 것은 스타일 3 이었으며, 가장 선호되지 않고 착용되지 않는 것은 스타일 5 이었다. 넷째, 내향적보다 외향적 라이프 스타일을 지닐수록 더 다양한 스타일에 대하여 선호도를 나타내었다.

As times change rapidly the lifestyle, personality, and values of men have changed diversely. Not only have preferences for men’s clothing changed, men’s fashion market has also grown, and novel, non-preexisting styles have come into place. Also, there are many studies on sensibility of women’s fashion while studies on sensibility of men’s fashion are insufficient. This study categorized common styles for men in their 20s into 7 different representative samples and investigated consumers’ sensibility evaluations for each representative sample. Style 1 (suit), style 2 (rider jacket + skinny pants), style 3 (blouson + straight pants), style 4 (cardigan + half pants), style 5 (military jacket + straight pants), style 6 (loose fit jacket + skinny pants), and style 7 (baseball jumper + straight pants) were prepared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The study compared male and female interest and knowledge of men’s fashion, evaluated the sensibility difference depending on the men’s fashion, analyze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preferred men’s clothing and actual wearing of the clothing, and examined the preferred style in relation with the lifestyl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s fashion was diversified and subdivided, and interest and knowledge about men’s fashion was greater for males than females. Second, sensibility of men’s fash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style, and it did not depend on genders. Third,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most favored style by the 20s and the actual style they commonly wear; the favored style and the actual worn style were consistent 66.1% of all the cases, inconsistent 33.9% of those. Style 3 had the highest preference and the actual wearing rate, and style 5 was the least preferred and worn. Fourth, the more extroverted lifestyle rather than introverted one, the more it was likely to prefer diverse styles.

저자
  • 임병묵(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Byungmook Rim
  • 이장형(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Janghyung Lee
  • 김지수(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Jisu Kim
  • 나영주(인하대학교 의류학과) | Youngjoo Na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