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南冥學의 淵源과 本質 KCI 등재

A Study on the Origin and Essence of Nammyeonghak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2361
  • DOIhttps://doi.org/10.14381/NMH.2017.53.03.30.0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남명학연구 (The Nammyonghak Study)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The Nammyong Studies Institute)
초록

이 글은 南冥學의 본질과 특색에 대해 재조명한 것이다. 南冥은 16세기 사화 기에 현실정치의 참여를 포기하고 학문에 전념한 인물인데, 25세 때부터 孔子 를 배우고자 하여 顔回의 克己復5를 통해 근본을 확립하는 구도의 길로 들어 섰다. 남명학의 淵源은 남명이 학문을 전환한 뒤 孔子·周敦頤·程Ⅱ·朱熹의 초상 을 그려 봉안해 놓고 참배한 데서 단서를 찾을 수 있는데, 주자의 博文約5의 학문과 程明道의 揚休山立의 氣節과 周濂溪의 光風霽月의 흉금을 추구하고, 나 아가 안회의 克己復5를 통해 공자의 경지에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남명학의 요체를 敬·義라 하는데, 이는 󰡔주역󰡕 「坤卦-文言」의 ‘敬以直內 義以 方外’에서 나온 것으로, 주자도 학문의 요체로 삼은 것이다. 따라서 경의학의 연 원은 주자를 통해 󰡔주역󰡕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경의학은 마음을 眞實無妄하게 하는 공부로, 敬은 마음을 고요하고 또렷하게 하여 긴장감과 경건함을 유지하 는 것이고, 義는 마음이 발한 뒤 판단이나 조처를 올바르고 합리적으로 하는 것 이다. 남명학의 본질은 남명이 남긴 3편의 賦와 󰡔學記類編󰡕의 「誠圖」·「易書學庸語 孟一道圖」·「心爲嚴師圖」·「幾圖」 및 「神明舍圖」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原泉 賦」에는 근본을 중시하는 사유가 근저에 깔려 있으며, 「民巖賦」는 나라의 근본 을 백성으로 보고 정치의 근본이 임금에게 달려있음을 말한 것이며, 「軍法行酒 賦」는 나라의 근본은 禮義라는 점을 역설한 글이다. 또한 「誠圖」와 「易書學庸 語孟一道圖」는 남명학의 본체에 해당하는데, 「誠圖」는 眞實無妄의 誠을 목표로 그 공부방법과 실천요령을 적시한 도표이며, 「易書學庸語孟一道圖」는 惟精·惟 一의 공부를 통해 誠을 추구하는 것을 형상한 것이다. 「心爲嚴師圖」·「幾圖」 및 「神明舍圖」는 남명학의 작용에 해당하는데, 「心爲嚴師圖」는 心을 嚴師로 삼아 存養·省察을 나타낸 것이고, 「幾圖」는 省察과 克己에 초점을 맞추어 그린 것이 며, 「神明舍圖」는 극기복례하여 至善의 경지에 이르는 것을 드러낸 것이다. 남명학의 특색은 「神明舍圖」의 ‘天德’과 ‘王道’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다. 천 덕은 하늘이 부여한 본성을 얻어 나의 인격을 완성하는 것으로 內聖에 해당하 고, 王道는 그 덕을 현실사회에 펴는 것으로 外王에 해당한다. 천덕을 추구하는 것은 人道를 닦아 天道에 배합하는 誠을 추구하는 것으로, 남명학의 특색은 居 敬行義의 공부를 통해 󰡔中庸󰡕의 大旨인 誠을 추구한 데 있다. 이는 퇴계가 󰡔소 학󰡕·󰡔대학󰡕을 근본으로 한 것과는 다른 시각으로, 󰡔중용󰡕을 所依經傳으로 삼은 것이다.

This study set out to re-illuminate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Nammyeonghak. Nam Myeong gave up on his participation in real politics during the Sahwa period in the 16th century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At the age of 25, he decided to learn Confucius and entered the path of seeking truth to establish the basi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The origin of Nammyeonghak finds its clues in Nam Myeong changing his path of study, enshrining the portraits of Confucius, Chou Tuni, Cheng Hao and Zhu Xi, and worshiping them before their portraits. He traced the root of his study to the stage of Confuciu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pursuing Zhu Xi's study of Bakmunyakrye, Jeong Myeong-do's integrity of Yanghyusanrip, and Ju Ryeom-gye's heart of Gwangpungjewol. The key points of Nammyeonghak are defined as Gyeong and Ui, which are from "Gyeongijiknae Uiibangoi" in "Gongoae-Muneon" of Book of Changes· Zhu Xi, too, considered them as the key points of his study. The origin of Gyeonguihak is thus traced to Book of Changes through Zhu Xi. In Gyeonguihak, Gyeong means maintaining tension and reverence by keep the mind in a calm and clear state, This study set out to re-illuminate the essence and characteristics of Nammyeonghak. Nam Myeong gave up on his participation in real politics during the Sahwa period in the 16th century and devoted himself to study. At the age of 25, he decided to learn Confucius and entered the path of seeking truth to establish the basi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The origin of Nammyeonghak finds its clues in Nam Myeong changing his path of study, enshrining the portraits of Confucius, Chou Tuni, Cheng Hao and Zhu Xi, and worshiping them before their portraits. He traced the root of his study to the stage of Confucius through the Geukgibokrye of Yan Hui, pursuing Zhu Xi's study of Bakmunyakrye, Jeong Myeong-do's integrity of Yanghyusanrip, and Ju Ryeom-gye's heart of Gwangpungjewol. The key points of Nammyeonghak are defined as Gyeong and Ui, which are from "Gyeongijiknae Uiibangoi" in "Gongoae-Muneon" of Book of Changes· Zhu Xi, too, considered them as the key points of his study. The origin of Gyeonguihak is thus traced to Book of Changes through Zhu Xi. In Gyeonguihak, Gyeong means maintaining tension and reverence by keep the mind in a calm and clear state, that found the basis in Lesser Learning and Great Learning and finds Souigyeongjeon in The Doctrine of the Mean·

저자
  • 崔錫起(경상대학교 한문학과 교수 겸 남명학연구소 책임연구원) | Choi, Seok 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