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국 동북 지역과 한반도의 경형동기 연구 KCI 등재

A study of mirror-shaped bronze vessels of Northeast China and the Korean peninsul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775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7,800원
韓國靑銅器學報 (한국청동기학보)
한국청동기학회 (Society for Korean Bronze Culture)
초록

경형동기는 정면이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는 직경 5cm 이상의 평면 원형의 뉴가 달려 있는 청동기이 다. 주연부의 꺽임 여부를 제1기준, 뉴 위치를 제2기준, 크기를 제3기준으로 할 때 전체 8개 형식으로 분류된다. 대체로 기원전 10~9세기에는 A형계와 B형계가 모두 확인되는 반면, 이후부터는 뒷 시기로 갈수록 A형계만이 지속되는 가운데 뉴가 중심뉴에서 중연뉴를 거쳐 변연뉴로 이동되는 양상을 보인 다. B형계는 기원전 10~8세기 하가점상층문화에만, AIb식·AIc식은 기원전 6~5세기 심양시에만, AIIa 식은 기원전 5~4세기 중엽 길림시에만, AIIIa식은 기원전 3세기 전엽 함평군 일대에만 분포한다. 하가점상층문화의 경형동기는 주로 요대와 관련 부속물에 착장되어 수장층의 의례 활동 관련의 의기 이자 보조적인 위세품으로만 사용된 반면, 정가와자유형에서는 수장층이 살아 생전에 사용한 의기 외 에 수장의 죽음을 영송하는 장례 관련 특수 기물과 위세품적 고급 거마장식류로도 사용되어졌으며, 서 단산문화 후기단계에서는 주로 목에 걸고 사용하는 의기로 사용되어졌고, 강상문화 누상단계에서는 주 로 위세품으로 사용되어졌고, 한반도 영산강 유역의 함평군 상곡리집단에서는 수장이 의례를 진행할 때 여러 매를 그물 구조의 끈에 연결하여 이를 목에 걸어 착용하던 의기로 사용되어졌다.

The mirror-shaped bronze vessel is a bronze vessel with a protruding round handle 5cm or more in diameter in the center of the vessel. With the curvature of the periphery as the first criteria, the location of the handle as the second criteria and size as the third criteria, these vessels can be divided into a total of eight types. Generally during the B.C. 10th-9th centuries both A and B types can be found but in later periods only the A type remains and the handle shows a tendency to move from the center, to a point between the center and periphery and finally to the periphery. The B type is found only in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of the B.C. 10th-8th centuries, the AⅠb and AⅠc only in Shenyang city of the B.C. 6th-5th centuries, the AⅡa type only in Jilin city during the B.C. 5th-mid 4th centuries and the AⅢa type is distributed only in Hampyong district during the early 3rd centuries B.C. The mirror-shaped bronze vessel of the upper Xiajiadian culture was attached to a waistbelt or other related accessories and mainly used as a ceremonial vessel related to the ceremonial activites of the ruling class and as supplementary prestige goods but in the Zhengjiawozi type culture in addition to being used during the lifetime of the ruling class it was also used as a funeral related special vessel to send off the deceased and also as a high-class chariot ornament, during the late phases of the Xituanshan culture it was mainly used as a ceremonial vessel worn around the neck, during the Gangshang culture Loushang phase they were mainly used as prestige goods and in the Sanggokli group of Hampyong district of the Yongsangang river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y were used as ceremonial vessels where several mirror-shaped bronze vessels were attached using a net-shaped string and worn around the neck when the ruling class were performing ceremonies.

목차
Ⅰ.머리말
 II. 경형동기의 개념과 형식
  1. 개념과 명칭
  2. 형식 분류
 III. 형식 변천 관계와 시공간적 양상
  1. 형식 변천 관계와 연대
  2. 시공간적 양상
 IV. 부장 양상 및 기능과 성격
  1. 지역과 문화 별 부장 양상
  2. 경형동기의 기능과 성격
 V.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
  • 吳江原(한국학중앙연구원 부교수) | Oh, Kang won (Associate professor of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