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식물공장에서 미나리(Oenanthe javanica DC.) 를 초장별(20cm, 30cm, 40cm, 50cm)로 재배할 경우 기능성 물질과 영양학적 가치가 유지되는지를 평가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미나리는 항산화 효과, 항염증, 간 보호 등 다양한 생리 활성을 갖춘 기능성 채소로, 기존 재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 고 연중 안정적인 생산이 가능한 식물공장 재배 가능성을 확 인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결과, 초장 30cm에서 칼륨(K)과 칼슘(Ca) 함량이 가장 높았으며, 비타민 C 함량 또 한 1,165.38mg·kg-1으로 가장 높았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초 장 20-40cm에서 유사한 수준을 유지하였으며, 초장 50cm 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기능성 물질인 Quercetin, Apigenin, Isorhamnetin 함량은 초장에 따른 변동 폭이 크지 않아, 단기 재배된 초장이 짧은 미나리도 충분한 기능성 물질 을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식이섬유 함량 또한 모든 초 장에서 일정 수준(300g·kg-1 이상)을 유지하여 건강 기능성 채소로 활용 가능성이 높았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식물 공장에서 초장 30cm로 재배된 미나리는 높은 영양 가치와 기 능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 노지재배 방식과 비교해 연중 균일한 생산이 가능하여 산업적 활용 가치가 클 것으로 판단 된다.
본 연구는 소비자위해감시시스템(Consumer Injury Surveillance System, CISS)과 1372 소비자상담센터를 통 해 수집된 건강기능식품 관련 위해 사례를 분석하여, 소 비자가 겪는 부작용 및 불만 사항을 심층적으로 검토하였 다. 연구 결과, CISS를 통해 수집된 461건의 위해 사례는 주로 중장년층과 어린이·청소년층에서 많이 발생했으며, 가장 빈번하게 보고된 부작용은 피부 발진, 복통, 구토와 같은 신체 반응이었다. 특히, 50대와 10대 미만에서 부작 용 발생률이 높아, 이들 연령대에 대한 철저한 관리와 주 의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또한, 홍삼, 유산균, 프로폴리 스 등에 대한 부작용 사례가 다수 보고되어, 제품의 판매 량에 영향이 있을 수 있으나, 해당 제품을 섭취하는 소비 자들에 대한 세심한 정보 제공과 주의가 요구됨을 확인하 였다. 부작용 중에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복통, 구토, 두드러기와 같은 피부 및 소화기관 관련 증상이었 으며, 이는 제품 섭취 전에 부패·변질 여부를 확인하는 것 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907 건의 상담사례 중 549건은 안전 문제와 관련되었고, 313 건은 표시·광고와 관련된 불만 사항이었다. 특히, 표시·광고와 관련된 불만은 제품 표시의 불충분함과 광고 내용의 신뢰성 부족에서 기인하였으며, 이는 소비자들이 제품 정 보를 정확히 얻지 못함으로써 발생하였다. 이에 대한 해 결책으로 제품 표시와 광고에 대한 규제 강화와 소비자 교육이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yuzu (Citrus junos Sieb.) pulp produced during yuzu juice processing by manufacturing it according to mixing ratio of yuzu pulp. Results of pH measurement showed that the higher the mixing ratio of yuzu pulp, the lower the pH. The acidity showed a concentration-dependent increase as the mixing ratio of yuzu pulp increased. Total flavonoids, total phenols, and functional flavonoids (narirutin, naringin, hesperidin, neohesperidin)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increasing yuzu pulp content (all p<0.05). Growth rate of Bifidobacterium infantis was approximately 5~39% higher in seasoned foods containing yuzu pulp than in commercial foods. Antibacterial effects of seasoned foods against Salmonella typhimurium and Streptococcus mutans were stronger when yuzu pulp content increased. In conclusion, seasoned foods added with yuzu pulp could be utilized in various ways as functional seasoned foods with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bacterial activities.
본고는 대화코퍼스 수집 및 분석을 통해 개별적 연구에 국한되어 있던 ‘X是’구조 응답표지들의 기능 및 특징들을 정리 및 개괄함으로써 ‘是’가 출현하는 응답표지들의 담화적가치를 재고하고자 시도하였다. 우선, 선행발화문과 ‘X是’응답문을 하나의 인 접쌍으로 인식하여 담화기능을 세분류하였다. 또한, 대화코퍼스의 통계를 통해 응답 표지 ‘也是’, ‘那是’, ‘才是’, ‘我是’의 응답기능이 갖는 특징을 비교분석하고 자주출현하 는 문형인 중복과 대구문형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응답문의 ‘X是’는 자신 고유의 문 법적 의미보다는 응답표지로서의 기능에 무게를 두고 있으며, 중복문형과 대구문형 은 ‘강조’라는 공통적인 특징을 갖는 동시에 강조의 초점대상에서는 상이한 양상을 보였다.
아막성은 운봉고원 일대를 한눈에 조망할 수 있는 전략적 요충지에 자리하고 있다. 성의 평면 형태는 방형이며 둘레는 635.8m에 이른다. 성벽은 편마암 성돌을 장방형으로 가공한 후 바른층쌓기 방식으로 축조되었으며 협축식 축조기법과 보축성벽, 장방형 집수시설이 확 인되었다. 또한, 현문식 성문과 장방형의 치가 설치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출토된 유물은 6세기 중엽 이후의 신라 토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아막성의 축성 방식은 같은 시기의 가야성과 백제성과는 뚜렷한 차이를 보인다. 가야성 은 주로 할석으로 쌓았으며 정교하게 가공된 장방형 성돌을 사용한 사례는 확인되지 않는 다. 백제성 또한 할석으로 축조된 체성벽과 개거식 성문이 특징적이다. 이러한 백제식 축성 법은 아막성 인근의 임실 성미산성과 순창 대모산성에서도 확인된다. 신라의 석축산성은 5세기 후반부터 등장하며 높은 체성벽과 세장방형 성돌, 협축성벽, 현문, 보축성벽, 곡면 치성 등이 특징이다. 이후 축성기법이 변화하면서 성벽의 높이가 점차 낮아졌으며 성돌의 형태는 장방형으로 변하였다. 7세기 중반에는 편축성벽, 지대석, 가공성 돌, 퇴물림쌓기 방식 등의 축성법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아막성은 6세기 중 엽에 축조된 신라의 산성으로 판단된다. 문헌 기록에 따르면, 신라는 대가야 멸망 이후 빠르게 가야 지역으로 진출하여 아막성을 축조하였다. 입지와 축조 시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성리산성이 곧 아막성일 가능성이 크다. 이후 아막성은 신라의 행정체계에 편입되어 운봉현의 치소성으로 기능하였으며 운봉성, 또 는 모산성으로 불렸을 것으로 추정된다. 신라는 아막성과 함께 소타성, 외석성, 천산성, 옹잠성 등 네 개의 성을 축조하였다. 운봉 고원 일대의 산성 중 가산리산성, 장교리산성, 양지산성, 할미성에서도 아막성과 유사한 신 라의 축성법이 확인되므로 이들 성이 아막성 전투에서 언급된 4성일 가능성이 있다.
This study aims to model an accident that occurred at building demolition work sites in Gwangju in 2021 by using functional resonance analysis method(FRAM) and to understand a range of factors contributing to the accident based o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FRAM and Safety-II. The nature of building demolition works needs to be understood from the viewpoint of socio-technical systems. Not only technical factors but also non-technical factors, including human, organizational, and political factors, and their complicated interrelationship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odeling and analysis of accidents happening in the works. Because of the inherent complexity of a demolition works, it is unlikely to specify all of the necessary activities to be conducted in the works and their accountable actors. Additionally, unexpected situations are likely to happen and therefore some activity procedures cannot be followed in a prescribed way, which means that workers sometimes should conduct their activities in an improvisional way. Those characteristics of building demolition works indicate that a traditional accident analysis method based on a linear cause-effect relationship would be inadequate, and that more systemic approaches that can deal with the socio-technical complexities and characteristics of demolition works should be used. With this in mind, we applied FRAM to the accident happening in Gwangju in 2021 and attempted to understand the accident based on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FRAM and Safety-II (e.g. a functional variablity and its propagation to another function). Lastly, we also suggested ways to enhance the safety of building demolition working sites.
By developing molds and facilities to horizontally mold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We intend to develop molds and a series of facilities to horizontally mold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to increase production per cycle while maintaining existing production methods and major facilities. In order to do so, CAE analysis is first required to develop molds and facilities for horizontally molding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ocedure will be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validity of boundary condi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3D modeling, grid generation, construction of analysis models, model validity, analysis according to frequency changes, and analysis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First, through the comparison of two-point support, three-point support, and two-point and three-point support in the constraint conditions, We would like to compare it with the actual molded produ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y developing molds and facilities to horizontally mold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We intend to develop molds and a series of facilities to horizontally mold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to increase production per cycle while maintaining existing production methods and major facilities. In order to do so, CAE analysis is first required to develop molds and facilities for horizontally molding the functional part of the drycast concrete block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he procedure will be carried out by reviewing the validity of boundary condi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3D modeling, grid generation, construction of analysis models, model validity, analysis according to frequency changes, and analysis according to physical properties. First, through the comparison of two-point support, three-point support, and two-point and three-point support in the constraint conditions, We would like to compare it with the actual molded produc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But first of all, it is considered three-point support in the constraint conditions in this paper.
2019년 농촌 인구는 전년도보다 7만 명 감소하였으며, 60대 이상이 전체 농촌 인구의 69%를 차지하면서 노동력 부족이 심화되고 있다. 또한 기후 변화로 인한 폭염과 가뭄뿐만 아니라 농업 생산에도 큰 피해가 발생하고 있어, 농업용수 절감과 자원 낭비 감소가 필수적이다. 현재 농가에서는 파종 후 초기 육묘기에 분수 호스를, 성장기에는 점적 테이프를 사용하지만, 두 가지 장치를 함께 설치하면 노동력과 비용이 증가하고 관수 효율이 낮아 용수 낭비와 폐기물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원거리 살수 기능을 가진 분수 호스와 직하 점적 기능을 수행하는 점적 테이프의 장점을 결합한 복합형 분수 호스를 개발하였다. 이를 위해 공급 압력만으로 두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충돌형 Dripper를 설계하였으며, 내부 유로의 최적 설계를 통해 충돌각, 충돌율, 단면적의 형태 및 크기, 공급 압력 등의 요소를 조절하여 원거리 분사와 직하 점적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실험을 통해 충돌각 20° 및 30°에 대한 다양한 Dripper 설계 조건을 평가한 결과, 충돌각 30°에서 중첩율 30.0%(0.50×0.50 mm, 중첩 거리 0.15 mm)의 Dripper가 가장 우수한 성능을 나타냈다. 이 설계는 0.5 bar의 낮은 압력에서는 직하 점적 기능을 수행하고, 1.0~2.0 bar의 높은 압력에서는 원거리 확산 살수가 가능하여 기존의 분수 호스와 점적 테이프를 하나의 장치로 대체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 농업 노동력 절감, 관수 비용 절감, 용수 절약 및 관수 폐기물 감소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복합형 분수 호스의 실용화를 위한 설계 기준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take status and the factors affecting intake of functional foods using the data from Consumer Behavior Survey for Food by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mong the total respondents, 80.4% took functional foods, and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took two types of functional foods was the highest. The main reason for taking functional foods was to prevent disease, and the main places of purchase of functional foods were off-line large supermarkets, on-line shopping malls, and pharmacies. Compared to a year ago, the percentage of increase in functional food purchases this year was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decrease. The most common reasons for not taking functional foods were ‘not feeling the need’ and ‘not trusting the quality’.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omplex samp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ake of functional foods, gender, age, marital status, illness state, alcohol drinking, and convenience-seeking type among dietary lifestyles were significant.
담관 협착 및 확장은 그 원인을 정확히 알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 호산구성 담관염은 담관 협착 및 확장을 일으킬 수 있는 양성 질환으로, 발생빈도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조직병리학, 방사선 사진, 내시경 및 혈액학적 소견을 종합하여 진단할 수 있으며, 스테로이드 투여를 통해 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드물지만 담관 협착 및 확장의 감별진단 시 고려해야 하는 질환으로, 이 증례를 통해 호산구성 담관염을 알아보고자 한다.
벌나무(Acer tegmentosum Maxim.)는 국내 고산지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고 간질환 치 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벌나무 추출물의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 성을 알아보기 위해 항산화, 항균, 항염증 효능 평가를 수행하였다. 시료 추출은 벌나무 껍질을 사용하 였고 벌나무 70% EtOH 추출물 (ATE)와 벌나무 열수 추출물 (ATW)로 나누어 추출하여 두 추출물의 효능을 비교평가 하고자 하였다.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 노이드 함량 측정을 진행한 결과 ATE와 ATW 모두 우수한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항균 효능 평가 결 과, ATW는 E. coli와 P. aeruginosa에 대해 ATE보다 우수한 항균 효과를 보였으나, ATE는 S. aureus 에 대해 ATW보다 우수한 항균력을 보였다. 항염증 효능을 알아보기 위해 세포 독성 평가, NO 생성 측정, Western blotting 실험을 진행한 결과 ATE는 6.25 및 12.5 μg/ml에서 세포독성 없이 NO 생성 을 유의하게 감소시키고 iNOS 및 COX-2의 발현을 억제하여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보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Acer tegmentosum Maxim. 추출물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할 가능성을 제안한 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제기능올림픽대회를 준비하는 청년디자이너들에게 전국기능경기대회 기출과제의 경향을 분석하여 국제대회에서 원활한 과제 수행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2009년부터 2024년까지 마이 스터넷에 공개된 전국기능경기대회, 국가대표선발전, 국제기능올림픽대회의 의 상디자인 직종 출제 과제를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전국기능경기대 회의 의상디자인 출제 과제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의복 아이템은 재킷과 스커 트로 구성된 수트이며, 스타일선으로는 숄더 프린세스라인이 가장 많이 사용 되었다. 여밈 형태에서는 싱글 여밈이 가장 많았으며, 칼라는 테일러드 칼라 와 노치드 라펠이 가장 많이 출제되었다. 소매 디자인은 주로 두 장 소매가 사용되었으며, 포켓은 심 포켓과 웰트 포켓이 가장 많이 활용되었다. 국내 국 가대표선발전과 국제기능올림픽의 출제 경향을 비교해 보면, 국가대표 선 발전에서는 동일한 디자인의 의상을 정확한 치수로 제작하는 '의복 제조' 과제가 주를 이루는 반면, 국제기능올림픽에서는 선수들의 독창적인 아이 디어를 의상에 표현하는 '창작 디자인' 과제가 많이 출제되고 있다. 따라 서 국내 기능경기대회의 과제 출제 방식을 국제대회 기준에 맞추어 조정 할 것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우리 선수들이 국제무대에서의 경쟁력과 적 응력을 키워, K-패션의 글로벌 위상을 한층 더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국가어항은 어촌경제의 핵심 거점으로, 전통적으로 수산업 활동을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해 왔다. 그러나 현대에는 관광과 레크 리에이션 기능도 요구되고 있으며, 어항의 다기능화가 필요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어항의 기능을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그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부각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어항의 기능을 분류하고, 각 기능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실증 분석한다. 이를 통해 어항 기능을 극대화하고, 어촌경제와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는 2021년 기준 115개 국가어항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국가어항은 기초어업형, 경제적 진흥형, 관광특화형, 취약형, 다목적형의 5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또한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수산 및 관광 기능에 미치는 주요 요인들을 도출하였다. 중도 매인 수, 관광매출액, 숙박시설 수, 항별 이용 면적 등이 관광과 수산 기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국가 어항의 다기능화를 위한 구체적인 요인들을 규명하고, 각 유형의 어항에 맞는 개발 전략을 제시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 특히, 취 약형 어항에 대한 맞춤형 개발 전략이 필요이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This study evaluated the suitability of using Wickerhamomyces anomalus A1-5 isolated from solid grain fermentation broth for winemaking by comparing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Campbell Early wine produced with single and mixed inoculations. The pH ranged from 3.43 to 3.68, with the highest value in treatment B. Soluble solids ranged from 5.0 to 7.7 °Brix. Total acidity was measured at 0.42% to 0.47%. Color analysis indicated a significant decrease in lightness with an increase in redness across all treatment groups compared to the control. Among aroma compounds, 8 alcohols, 6 esters, 3 acids, and 11 other compounds were identified, with the control having the highest alcohol content and treatment D having the highest ester content. Tannin and total polyphenol contents ranged from 46.46 mg% to 95.92 mg% and from 87.66 mg% to 147.21 mg%,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ies measured by DPPH and ABTS assays ranged from 33.84% to 69.02% and from 42.43% to 89.18%, respectively, with treatment B exhibiting the highest activiti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W. anomalus A1-5 may positively influence the quality and functionality of Campbell Early wine, presenting potential as a novel yeast strain for winemaking.
본 연구는 양육자가 경험하고 지각한 원가족기능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 향에서 Cloninger 자아탄력성 요인(자율성, 위험회피, 인내력)의 역할을 실증적 으로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원가족기능과 양육스트레스의 관계에서 자율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자율성과 양육스트레스 사이에서 위험회피와 인 내력의 이중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만 1세에서 만 12세 자녀를 둔 양육자 227명을 대상으로 원가족기능척도, 양육스트레스척도, TCI-RS척도를 실 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Process Macro 16번을 통해 분석한 결과 원가족기능이 자율성을 매개로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이 위험회피와 인내 력에 따라 조절되는 이중 조절된 매개모형이 검증되었다. 구체적으로 위험회피와 인내력이 함께 상승할수록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자율성의 영향력이 약해 지는 정도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위험회피와 인내력의 영향력은 자 율성의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자율성이 낮아질수록 위험회피와 인내력 의 상승에 영향을 많이 받으며 양육스트레스가 급격하게 높아졌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 나타난 연구의 함의, 한계,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quality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ity of liqueurs made from different plum varieties (chu-hui and Blood Plum) with various maceration treatments. Liqueurs were prepared by adjusting plum extraction content and alcohol concentration from 10% to 50%. After 12 weeks of maceration, the pH ranged from 4.08 to 4.77. Both total acidity and soluble solidsincreased with higher alcohol content. Redness(a*), a key factor affecting consumer preference, was higher in blood plum liqueurs (17.15~52.69) than in Chu-hui liqueurs (-0.31~4.69).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peaked at 8 weeks of maceration, showing variations among treatments. When the extraction ratio of plums was below 30%, the color appeared light. Liqueurs treated with 30% Blood Plum for 8 weeks showed the highest commercial potential. This study provides scientific information necessary for establishing a manufacturing process for plum-based liqueurs.
In a previous study, beverages containing Centella asiatica extracts (CAE) that exhibited anti-inflammatory effects were prepared.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for CAE to enhance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functional labeling beverages (FLB-CCS) containing Aloe vera gel powder and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and to determine their effects o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Initially, FLB-CCS 1 (containing 3% CAE) and FLB-CCS 2 (containing 1% CAE), which had varying CAE extraction ratios, displayed no significant cytotoxicity in IL-1β-induced inflammatory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s. FLB-CCS 1 significantly more effectively inhibited the production of inflammatory factors, such as IL-6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compared to FLB-CCS 2. FLB-CCS 1 also reduced the mRNA expression of genes encoding IL-6 and MCP-1. Additionally, FLB-CCS 1 regulated the expression of IL-1 receptor type 1 by inhibiting the nuclear translocation of the NF-κB transcription factor p65.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increased CAE extraction ratio (FLB-CCS 1) could enhance the anti-inflammatory activity and serve as materials in functional labeling beverages for intestinal health.
The Ansan Reclaimed Wetland, reclaimed in 1986 and maintained for 38 years, underwent two wetland function assessments to develop strategies for enhancing biodiversity and conservation. The biota of the reclaimed wetland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species observed across most taxa, while the number of amphibian and reptile species decreased. Among legally protected species and specific species, Aix galericulata and Lefua costata were not observed, whereas Libellula angelina were introduced. The results were categorized into “protection or improvement” and “enhancement.” Proposed conservation measures include removing planted shrubs, maintaining waterways, and installing gabion structures and wildlife corrid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