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도 스텐트가 인접한 담도 주위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혈액 담즙증을 유발하거나 스텐트 제거 시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드물게 보고된다. 스텐트 제거 시 활력징후가 불안정 해질 정도의 혈액 담즙증이 생기는 경우, 혈관조영술을 시행 하기 전 구조 요법으로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의 압박 효과를 통한 지혈을 기대하고 삽입할 수 있다. 본 두 증례는 간문부 담관암 환자에서 간문부 폐색에 대해 삽입한 담도 스텐트 그리고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이후 동반된 간농양의 내배액 목적으로 삽입한 담도 스텐트를 각각 교체 목적으로 제거 후 급격히 악화된 대량의 혈액 담즙증을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사례이다. 한편, 해당 상황에선 정확한 출혈 위치를 알기 어려워 예상되는 출혈 위치를 포함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위치에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며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었더라도 지혈이 되지 않을 수 있기에 일시적인 방안이며 스텐트 자체의 한계점들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스텐트 제거 시 혈액 담즙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중 출혈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서는 제거 전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 하며 출혈이 발생한 뒤 스텐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지혈을 시행했더라도 출혈 및 가성동맥류와 같은 혈관 기형의 확인을 위한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한다.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OSCC) is the most common cancer of oral cancers. Recent data suggest that chemokines could be essential players in carcinogenesis and that tumor cells express chemokine receptors and use chemokines to metastasize to the target organ in many malignancies in human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hypothesis that expression of SNPs in chemokine, CXCL1 and CXCL2 correlate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s in Korean population. The CXCL1 and CXCL2 genotypes were determined in 21 subjects with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and 90 control subjects without oral squamous cell carcinoma. The genotypes were determined by direct sequencing. The genotype distribution and allele frequency within the OSCC patient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control subjects. But among OSCC subject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f CXCL1 gene in the degree of nuclear aberrat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CXCL1 -442C/T polymorphism and CXCL2 -264T/C polymorphism are not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OSCC but polymorphism of CXCL1 gene might have a relation with progression of OSCC in Korean pop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