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여 호전된 담도 스텐트 제거 후 발생한 대량의 혈액 담즙증 2예 KCI 등재 SCOPUS

Two Cases of Life-Threatening Hemobilia Following Removal of Biliary Stents Treated with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424166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췌담도학회지 (Korean Journal of Pancreas and Biliary Tract)
대한췌장담도학회(구 대한췌담도학회) (Korea PancreatoBiliary Association)
초록

Biliary stent removal can cause hemobilia due to injury to the adjacent vessel, but it is rarely reported. If significant hemobilia occurs during stent removal, samesession covered self-expandable metal stent (CSEMS) insertion may be useful as a rescue or bridge therapy before angiography. Here, we report two cases of lifethreatening hemobilia following stent removal successfully treated by CSEMS. The first case was a Klatskin tumor bismuth type IV patient who required biliary stenting for resolving malignant biliary obstruction. The second case was a hepatocellular carcinoma patient who had undergone multiple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and required biliary stents for liver abscess. In this situation, inserting a CSEMS at a higher level than the expected bleeding site and recognizing stenting as a temporary therapy with its limitations are important. Also, it is crucial to consider pre-procedural imaging in high-risk patients, and perform post-procedural imaging to evaluate for ongoing bleeding or vascular abnormalities.

담도 스텐트가 인접한 담도 주위 혈관에 손상을 주어 혈액 담즙증을 유발하거나 스텐트 제거 시 손상으로 발생할 수 있다고 드물게 보고된다. 스텐트 제거 시 활력징후가 불안정 해질 정도의 혈액 담즙증이 생기는 경우, 혈관조영술을 시행 하기 전 구조 요법으로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의 압박 효과를 통한 지혈을 기대하고 삽입할 수 있다. 본 두 증례는 간문부 담관암 환자에서 간문부 폐색에 대해 삽입한 담도 스텐트 그리고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간동맥 화학색전술 이후 동반된 간농양의 내배액 목적으로 삽입한 담도 스텐트를 각각 교체 목적으로 제거 후 급격히 악화된 대량의 혈액 담즙증을 피막형 팽창성 금속 스텐트를 삽입하여 성공적으로 치료된 사례이다. 한편, 해당 상황에선 정확한 출혈 위치를 알기 어려워 예상되는 출혈 위치를 포함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위치에 스텐트를 삽입해야 하며 적절한 위치에 삽입되었더라도 지혈이 되지 않을 수 있기에 일시적인 방안이며 스텐트 자체의 한계점들도 있다. 따라서, 기존의 스텐트 제거 시 혈액 담즙증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그중 출혈의 위험성이 높은 환자에서는 제거 전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 하며 출혈이 발생한 뒤 스텐트를 통해 성공적으로 지혈을 시행했더라도 출혈 및 가성동맥류와 같은 혈관 기형의 확인을 위한 영상 검사를 고려해야한다.

목차
서 론
증 례
    1. 증례 1
    2. 증례 2
고 찰
요 약
저자
  • 우지헌(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Ji Hun W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준열(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Junyeol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최진호(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내과학교실) | Jin Ho Cho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Seoul, Korea)
  • 강준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Joongyu Ka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백우현(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Woo Hyun Pa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류지곤(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Ji Kon R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김용태(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Yong-Tae Ki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이상협(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서울대학교병원 내과학교실 및 간연구소) | Sang Hyub L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Liver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