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ing the Period and Characteristics of Songguk-ri Type Settlements on Jeju Island
송국리형문화는 우리나라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문화로서 지역적 보편성과 다양성을 보여준다. 이 문 화는 한반도에서 제주도로 전파되어 북제주의 삼양동과 남제주의 예래동과 화순리에서 대규모 취락을 형 성하였다. 이러한 배경은 제주 탐라문화의 지역 거점화를 이루는 계기를 마련해주었다. 제주도에서 송국리형문화는 유입기-확산기-토착기-전환기를 거치면서 발전한 것으로 파악된다. 시기에 따라 변화하는 물질문화와는 달리, 제주 토착민들은 송국리형주거의 전통을 원삼국시대까지 지속시켰다. 특히 호남 지역과 상통하는 주거문화가 전기간 동안 주류를 이루었다. 이러한 문화적 배경은 송국리형문 화가 제주의 토착적 기층문화를 형성했다는 점과 그 기원이 호남 지역에 있었다는 것을 설명해주는 근거 라고 생각한다. 제주도의 송국리형문화는 기원전 7세기 어느 시점에 등장하는 것으로 추정되며 기원후 2세기 이후까지 존속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기간 동안 제주도에서는 물질문화의 변화 과정을 거치는데, 기원전 300년 을 전후하면서부터 제주도만의 토착적인 토기문화를 이루게 된다. 이러한 양상은 외도동식토기가 출현하 는 기원후 2세기 전까지 원초적인 탐라문화로서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외도동식토기의 출현과 곽지리 식토기로의 계승은 본격적인 탐라시대의 시작을 의미하므로 이전 단계는 古탐라시대라고 해도 무리는 아 니라고 판단된다.
The Songguk-ri type culture is an archetypal culture of Korean Bronze Age that exhibits both regional universality and diversity. This culture spread to Jeju Island and eventually established large-scale settlements in Samyang-dong in north Jeju and Hwasun-ri in south Jeju. This culture became the catalyst for the emergence of regional hubs of Jeju’s Tamla(耽羅) culture. The Songguk-ri type culture on Jeju Island grew through a process of advent, expansion, fixedness, and conversion. But unlike material cultures, which go through changes with the flow of time, the indigenous people of Jeju preserved the traditions of Songguk-ri type settlements until the Proto Three Kingdoms Period. Especially, throughout the entire period, the mainstream settlement culture of Jeju was fully in touch with the settlement culture of the Honam region. This background clearly signifies that the Songguk-ri type culture formed the native base culture of Jeju and that the culture’s origins can be traced to the Honam region. The Songguk-ri type culture of Jeju had its beginnings in the seventh century BC and survived until the second century A.D. During this period, the material culture in Jeju underwent a transformation. Especially by around 300 B.C., certain cultural aspects had emerged that were unique to Jeju Island, and these can be regarded as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the ancient Tamla culture that prevailed until the appearance of Oedo-dong type pottery in the second century. The emergence of the Oedo-dong and Gwakji-ri type pottery signifies the beginnings of the Tamla culture. Therefore, it is appropriate to identify the preceding era as the Proto-Tamla(古耽羅) Peri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