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부지방 단감원에서 애기유리나방과 복숭아유리나방의 발생소장 KCI 등재

Seasonal Occurrence Patterns of Synanthedon tenuis and S. bicingulata (Lepidoptera: Sesiidae) in Sweet Persimmon Orchard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3850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애기유리나방과 복숭아유리나방의 성페로몬 트랩을 이용하여 2013년부터 2015년까지 경남과 전남지역의 단감원에서 이들의 발생소장을 조사하였다. 두 종 모두 년 2회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애기유리나방의 1화기의 발생최성기는 5월 하순, 2화기는 9월 중·하순인 것으로 나 타났다. 복숭아유리나방의 1화기 발생최성기는 해에 따라 조금씩 달라 5월 상순 - 6월 상순 정도이었고, 2화기 발생최성기는 애기유리나방처럼 9 월 중·하순으로 조사되었다. 년도별 지역별 유인량을 종합해보면 애기유리나방은 1세대의 유인량이 2세대보다 약 1.9배 많았으나 복숭아유리나 방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로 2세대의 유인량이 1세대보다 약 1.3배 많았다. 그러나 복숭아유리나방의 감나무에 대한 피해여부는 아직까지 밝혀진 바가 없다.

Seasonal occurrence patterns of Synanthedon tenuis and S. bicingulata (Lepidoptera: Sesiidae) were monitored in sweet (non-astringent) persimmon orchards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from 2013 to 2105, using sex pheromone traps of the respective species. The two species occurred twice a year. Peak occurrences of the 1 st and 2 nd generations of S. tenuis were observed in late May nd mid to late September, respectively, while those of S. bicingulata were in early May to early June and mid to late September, respectively. Pooled catches of S. tenuis during the three years from the three locations showed that the 1 st generation was 1.9 times larger than the 2 nd generation. In contrast, pooled catches of S. bicingulata showed that the 2 nd generation was 1.3 fold larger than as the 1 st generation. However, it remains unclear whether S. bicingulata damages persimmon tree or not.

목차
ABSTRACT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조영식(국립원예특작과학원 기획조정과,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 Young-Sik Cho
  • 김준헌(국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BK21) | Junheon Kim
  • 장신애(국립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Sin Ae Jang
  • 박정규(국립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국립경상대학교 생명과학연구원,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BK21, Institute of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Chung Gyoo Park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