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강화쑥의 온실 주년 재배 특성 분석 및 환경 처리를 통한 유파틸린 성분 증대 KCI 등재

Analysis of Year-round Cultivation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princeps in Greenhouse and Enhancement of Eupathilin Content by Environmental Stre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22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생물환경조절학회지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한국생물환경조절학회 (The Korean Society For Bio-Environment Control)
초록

쑥은 세포 손상과 위염 회복에 효능이 있는 유파틸 린을 가지고 있는 약용작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강 화쑥의 온실에서의 주년 생육 특성을 분석하고, 환경 스트레스를 처리하여 유파틸린의 함량을 증대시키는 것이다. 유리 온실에서 강화쑥을 육묘 6주, 정식 후 8 주간 재배하여 생육 특성과 유파틸린 함량을 비교하였 다. 광합성은 상대적으로 고광도인 1,200μmol·m-2·s-1에 서도 포화되지 않았다. 생육속도는 정식 후 2주후에 최고에 도달하였고 정식 후 8주부터 감소하기 시작하 였다. 강화쑥은 다년생 숙근초로 계절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봄 여름의 영양 생장기에는 높은 생육과 성 분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가을과 겨울에는 개화 및 월 동으로 인하여 생육 및 유파틸린 성분 함량이 크게 감 소하였다. 따라서 강화쑥의 주년 재배를 위하여는 이를 억제하기 위한 야파 처리의 적용이 필수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종류의 스트레스와 1종류의 eliciter를 처 리하였다. 건조 스트레스는 수확 전 5, 6, 7, 8 일간 관수을 중단하였고, 염류 스트레스는 수확 3일전 양액 에 염화나트륨 추가하여 2, 4, 6, 8dS·m-1 농도로 하였 고, 메틸자스모네이트는 수확 3일전 12.5, 25, 50, 100μM 농도로 엽면 시비하였다. 건조 스트레스 처리 구 중 7일 및 8일간 관수를 중단한 경우와 메틸자스모 네이트를 25μM 엽면 시비한 경우 유파틸린 함량이 증 가하였다. 염류 스트레스 처리구에서는 유파틸린 함량 증대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는 환경 처리를 통해 유용 성분의 증대가 가능하고 의약 원료로써 강 화쑥의 생산성과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증 명하였다.

Mugwort (Artemisia princeps) is a medicinal plant that has a substance called euphatilin, which is effective for cell damage and gastritis recovery.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annual growth characteristics of Artemisia princeps in greenhouse and to increase the eupatiline content by environmental stresses.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of the plants were compared after 6 weeks of seedling and subsequent 8 weeks of greenhouse cultivation. Photosynthesis of mugwort plants did not saturate even at a relatively high light intensity of 1,200μmol m-2·s-1. Growth rate of the plants reached its highest at two weeks after transplanting and began to decrease since 8 weeks after transplanting. The plants showed typical characteristics of a perennial herbaceous plant as they were sensitive to seasonal changes. In particular, the plants showed high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in spring and summer as vegetative growth periods, but flowering and wintering caused considerable decreases in growth and eupatilin content in fall and winter. Therefore, application of night interruption is essential for year-round cultivationof the plant. Two stresses and a elicitor were treated: drought stresses by stopping irrigation at 5, 6, 7, and 8 days before harvest; salt stresses with nutrient solution concentrations of 2, 4, 6, 8, and 10 dS·m-1 by adding sodium chloride at 3 days before harvest; and foliar applications of methyl jasmonates of 12.5, 25, 50, and 100μM at 3 days before harvest. Significant increase in eupatilin content was observed at drought stresses of 7- and 8-days of irrigation stop and foliar application of 25μM methyl jasmonate, while no significant increase observed at salt stresses. From the results, it was confirmed that the environmental treatments can improve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Artemisia princeps as a phamaceutical raw material.

목차
서 론
 재료 및 방법
  1. 식물 재료 및 재배 환경
  2. 환경 스트레스 처리
  3. 유파틸린 함량 분석
  5. 기상 데이터 수집
 결과 및 고찰
  1. 강화쑥의 생육 특성
  2. 재배 시기에 따른 생육 및 유효 성분 축적 특성
  3. 환경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유파틸린 함량의 변화
 적 요
 사 사
 Literature cited
저자
  • 강우현(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Woo Hyun Kang
  • 한지수(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Zeesoo Han
  • 이승준(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Seung Jun Lee
  • 신종화(안동대학교 원예육종학과, Department of Horticulture and Breeding, Andong National University) | Jong Hwa Shin
  • 안태인(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Tae In Ahn
  • 이주영(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Natural Product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Joo Young Lee
  • 강석우(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Natural Product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Suk Woo Kang
  • 정상훈(한국과학기술연구원 천연물융합연구센터, Natural Products Research Center,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KIST)) | Sang Hoon Jung
  • 손정익(서울대학교 식물생산과학부, Department of Plant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 Jung Eek Son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