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Happiness Discourse from the Viewpoint of Early Buddhism
우리는 살아가면서 다양한 괴로움에 직면한다. 괴로움으로부터 벗어나 진정한 행복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현실의 삶이 괴로움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괴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그러나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괴로움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외면하고 즐거움과 기쁨을 주는 행위에 집중하며 쾌락을 주는 상태가 진정한 행복이라고 착각한다. 소비와 쾌락으로 만들어진 인공행복은 편리하게 행복감을 느낄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지속적인 만족감과 행복으로 연결되지 않기 때문에 끝내는 인간을 공허하게 만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조장된 행복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행복에 대한 초기불교의 견해를 탐구하여 행복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고찰한다.
초기불교 경전에서는 행복을 인간의 행복, 천상의 행복, 궁극의 행복이라는 3가지 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붓다는 인간의 행복과 천상의 행복을 결코 등한시 하지 않았으나 통찰의 지혜를 통해 세간적인 행복에 매몰되지 않고 궁극적인 행복으로 향하는 가능성을 열어둘 것을 강조한다. 또한 붓다는 중도로서의 팔정도의 실천과 사띠를 통한 수행을 통해 자신의 내면에서의 행복을 찾는 것을 권장한다. 팔정도의 실천은 쾌락과 고행과 같이 양극단에 치우쳐진 행복의 방식을 넘어서서 균형 잡힌 행복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고 사띠의 수행은 긍정성과 부정성에 대한 집착 모두에서 벗어나게 한다. 붓다의 이러한 가르침은 우리가 집착하는 모든 것들이 무상한 것임을 자각하게 하여 쾌락과 긍정성으로 포장된 인공행복이 아니라 진정한 행복의 성취 가능성을 제시해 준다.
Today, many people disregard the negative emotion like sufferings, concentrate on the behaviors which give delight and joy, and are under a delusion about that the status of giving pleasure is authentic happiness. The artificial happiness from the consumption and happiness makes us have a feeling of happiness conveniently. On the contrary, it is not connected to the lasting feeling of satisfaction and happiness, so ultimately it makes human being feel empty.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blems in the artificial happiness, and explore the happiness from the viewpoint of early Buddhism, and investigate the orientation that the happiness discourse has to proceed.
In Early Buddhist Scripture, the happiness was classified with three dimensions like human happiness, happiness of heaven and ultimate happiness. Buddha never neglected the human happiness and happiness of heaven, but it focuses on that it needs to open to possibilities toward the ultimate happiness through the wisdom of insight, not immerse to the worldly happiness. With the development of wisdom and insight into the truth, the lasting peace can be maintained after removing the worldly desires completely, without being swayed at all.
In addition, Buddha recommends us to find out the inside of us through the practice of Noble Eightfold Path as middle way like middle path and through the cultivation by Sati. The practice through the Noble Eightfold Path can make us forward to the balanced happiness beyond the way of happiness leaning toward to the two extremes. On the other hand, the cultivation through Sati can make us get out of obsession on the positivity and negativity completely. Such Buddha's teachings can make us perceive that everything that we are obsessed with is meaningless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to achieve the authentic happiness, not an artificial happiness which is glossed over happiness and posi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