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랫드에서 Naringin이 지방대사 및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 KCI 등재

Effect of Naringin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14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본 연구는 항암, 항균, 항산화 등의 기능을 나타내는 식물성 플라보노이드인 naringin이 암컷 SD rat의 지질대사와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실험은 5주령의 암컷 SD rat를 대상으로 일주일에 3번, 총 5주 동안 naringin을 경구투여하여 지질대사와 항혈전능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실험군은 대조군(non naringin group), 저용량 naringin 투여군(0.2 g/kg), 고용량 naringin 투여군(0.5 g/kg)으로 구분하였다. 실험결과 랫드의 체중증가량과 상대장기중량에서는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체중증가량에서 3주차 이후에 용량에 비례하지는 않지만 대조군에 비하여 naringin 투여군의 체중 증가율이 적은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사료섭취량과 체중증가량을 이용하여 각 군의 5주간 식이효율을 구해보았을 때, 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장기와 조직의 상대장기중량은 간을 비롯하여 신장, 비장 모두 naringin 투여군과 대조군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중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glucose의 수치는 대조군에 비해 naringin 투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total cholesterol과 HDL-cholesterol의 수치를 이용한 Atherogenic index 즉, 동맥경화지수는 대조군에 비하여 고용량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항혈전능 실험결과에서는 고용량 naringin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가 관찰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때 암컷 SD rat에서 naringin은 체중감소에 대한 효과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지질저하 효과, 항산화 효과 등의 면에서 모두 우수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자생하는 천연물 소재에 널리 분포된 naringin은 고혈압과 당뇨병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추측되며 동맥경화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여 건강기능 식품 소재로 이용될 수 있는 적절한 물질이라 판단된다.

Naringin, major citrus flavonoids, has been identified to exert antioxidative, antidiabetic, and lipid lowering effects.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effect of 0.2 g/kg, 0.5 g/kg naringin supplementation for 3 times/week for 5 weeks on lipid metabolism and antithrombotic capacity in rat. Eighteen five week-old Sprague Dawley(SD) female rats, which had initial body weights of 246 ± 9g,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trol (non naringin group); Low (0.2 g/kg naringin-supplemented group); High (0.5 g/kg naringin-supplemented group). Three groups of rats were supplemented with three experimental diets for 5 weeks and we investigated antithrombotic capacity before sacrifice. Naringin did not significantly alter the body weight gain, relative organ weight. However, the level of serum triglyceride, serum free fatty acid, serum total lipid and serum glucose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high group (0.5 g/kg naringin-supplemented group) was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bleeding time compared to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naringin supplemental diets reduces the level of hypertension, glycosuria and fatness on the female SD rats, when orally administered below the dosage 0.5 g/kg for 5 weeks.

목차
재료 및 방법
  실험동물 및 시료
  혈액과 장기의 채취
  항혈전능 실험
  동맥경화지수 (Atherogenic index, AI)의 계산
  간 조직의 형태학적 분석 및 지방소적 분석
  통계처리
 결 과
  체중증가량, 식이효율과 상대장기중량
  Triglyceride & Total lipid
  Free fatty acid & Glucose
  Total cholesterol & HDL cholesterol & Atherogenic index
  항혈전능
  간조직의 지방소적 및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고 찰
 요 약
 참고문헌
저자
  • 정지윤(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Ji-Youn Jung Correspondence
  • 최창순(중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Chang-Sun Choi
  • 윤성일(한국국제협력단 환경여성과) | Seong-Il Yoon
  • 김상기(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Sang-Ki Kim
  • 김병수(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Byeong-Soo Kim
  • 박병권(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Byung-Kwon Park
  • 박영석(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Young-Seok Park
  • 이성호(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Seung-Ho Lee
  • 김수현(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Soo-Hyun Kim
  • 김형진(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Hyeong-Jin Kim
  • 김진(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Jin Kim
  • 김소정(공주대학교 특수동물학과) | So-Jung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