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hanges in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the Addition of Center-near Designed Multifocals and Utilization as Contact Lenses for Fatigue KCI 등재

중심부 근용 디자인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가입도에 따른 시기능의 변화와 피로감소용 렌즈로서의 활용도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59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단초점 콘택트렌즈와 3가지 가입도의 중심부 근용 동시보기 디자인의 멀티포컬 콘 택트렌즈를 착용한 후 근거리에서 조절을 유도하여 콘택트렌즈 타입에 따른 시기능의 변화를 비교하고, 피 로감소용 기능성 콘택트렌즈로서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처방에 대한 활용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취지를 이해하고 목적과 방법에 동의한 20-30대 성인 남녀 20명(40안, 26.63±4.36세) 을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구면 굴절력은 –3.38±2.57 D이며, 평균 원주 굴절력은 –0.46±0.31 D, 평균 등 가구면 굴절력은 -3.61±2.64 D였다. 대상자들은 총 4회 방문하였고 매 방문시 단초점 콘택트렌즈, 멀티포 컬 콘택트렌즈 LOW, MID, HIGH를 각각 착용하였고, 조절 부담을 유도하기 위해 40 cm에서 1시간 동안 휴 대폰(4.7 inches)으로 자막이 있는 영상을 시청하였다. 영상을 시청한 후 MEM과 원근 대비시력 100%와 10%, 선명시역, 조절근점, 폭주근점, 조절용이성, 입체시 검사를 실시하였고,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자각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가입도가 증가함에 따라 MEM은 증가하였고 조절근접은 감소하였다 (p<0.05). 원근거리 대비시력과 선명시역, 폭주근점, 입체시, 조절용이성은 4 종류의 렌즈에서 유의한 차이 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단초점 콘텍트렌즈를 착용했을 때 원거리 시력에 대한 만족도가 가장 높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멀티포컬 콘택트렌즈의 가입도가 증가하면서 MEM은 증가하고 조절근점은 짧아졌음을 확인하였 다. 멀티포컬 콘택트렌즈를 기능성 콘택트렌즈로 처방하기 위해서는 더 오랜 기간 착용한 후 시기능의 변화 를 추적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compare changes in visual function according to single vision and additions of center-near simultaneous vision multifocal contact lenses and investigate the use as a functional contact lens for fatigue. Methods: Twenty young adult subjects(40 eyes, 26.63±4.36 year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ean spherical refractive errors were–3.38±2.57 D, mean cylinderical errors were–0.46±0.31 D and mean spherical equivalent errors were -3.61±2.64 D. Subjects visited four times and wore single vision, multifocal LOW, MID, and HIGH addition lenses for each visit. They were asked to watch a video with subtitles on a cell phone (4.7 inches) at 40 cm for 60 minutes in order to induce accommodation. After that, MEM, distance and near contrast visual acuity (100% and 10%), near range of clear vision, near point of accommodation, near point of convergence, accommodative facility and stereoacuity were measured and subjective satisfaction was evaluated. Results: As the addition increased, MEM tended to increase and near point of accommodation decreased(p<0.05). On the other hand, with four types of contact lense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for distance and near contrast visual acuity, near range of clear vision, near point of convergence, accommodative facility and stereoacuity(p>0.05). Satisfaction with distance vision showed the highest score in single vision contact lenses. Conclusion: As the addition increases, an increase in MEM and a decrease in near point of accommodation are verified. However, differences in the other tests were mostly not significant. Therefore, in order to use the multifocal contact lenses as functional contact lenses, it may be necessary to trance changes in visual function after wearing for a longer period of tim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연구대상
  2. 기능성 콘택트렌즈
  3. 연구방법
 Ⅲ. 결 과
 Ⅳ. 고 찰
 Ⅴ. 결 론
 References
저자
  • Chae-Youn Seo(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 서채연
  • Geun-Chang Ryu(Dept. of Optometry and Optic Science, Dongshin University, Naju, 동신대학교 안경광학과, 나주) | 유근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