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세균을 이용한 정제봉독의 복귀돌연변이시험 KCI 등재

Mutagenicity Study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by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172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 (Korean Society of Food Hygiene and Safety)
초록

서양종 꿀벌의 일벌의 독을 채취하여 정제한 정제봉독에 대한 세균에서의 돌연변이 유발성 검색을 위하여 S.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TA100, TA1535, TA98, 그리고 TA1537의 균주와 대장균 E. coli의 트립토 판 요구성 균주인 WP2 uvrA를 이용해 복귀돌연변이시험 을 실시하였다. 정제봉독은 부형제로 사용한 멸균생리식 염수에 용해되었으며 모든 농도군의 조제물에서 침전은 관찰되지 않았으며, 정제봉독 조제물을 top agar와 혼합할 때 모든 농도군에서 혼탁이나 침전이 관찰되지 않았다. 대사활성계 적용 TA100, TA1535, TA98 균주에 대해 0, 1.5, 5, 15, 50, 150 및 500 μg/plate의 범위를 설정하고 미 적용시엔 0, 0.15, 0.5, 1.5, 5, 15 및 50 μg/plate의 범위로 설 정하였다. TA1537과 WP2 uvrA균주에 대한 농도 범위은 대사활성계 적용시엔 0, 5, 15, 50, 150, 500 및 1,500를 미 적용시엔 0, 1.5, 5, 15, 50, 150 및 500 μg/plate 범위로 설정하여 시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모든 시험균주에서 대사활성계 적용 여부에 상관없이 정제봉독 처리군 의 평균 집락 수는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양성판정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정제봉독은 본 시험 조건 하에 사용한 시험 균주에 복귀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aim of the current study was to examine genotoxicological safety of purified bee venom (Apis mellifera L.)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in Salmonella typhimurium (TA100, TA1535, TA98, and TA1537) and Escherichia coli (WP2 uvrA) were evaluated with purified bee venom at concentrations of 0, 1.5, 5, 15, 50, 150, and 500 μg/plate. Purified bee venom was negative in Ames test with both i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rat liver microsomal enzyme. According to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purified bee venom did not cause bacterial reverse mutation. The safety of the purified bee venom at practical doses needs to be further evaluated in in vivo genotoxicity assays.

목차
Materials and Methods
  공시 시료 및 성분 분석
  시험균주 및 배지
  균주의 보존 및 형질 확인
  대사활성계
  시험물질 처리 평판 제작
  시험물질 처리 및 평판 제작
  관찰 항목
  결과의 평가
 Results and Discussion
 Acknowledgement
 국문요약
 References
저자
  • 한상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Sang Mi Han Correspondence to
  • 홍인표(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In Phyo Hong
  • 우순옥(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Soon Ok Woo
  • 김세건(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Se Gun Kim
  • 장혜리(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생물부, Department of Agricultural Biology,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Hye Ri J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