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봉사학습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KCI 등재

A Meta-Analysis for Effects of Service-Learning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4632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교원교육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Center For Education Research)
초록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적용 이후 국내에서 그 중요성에 대해 새롭게 논의하게 된 봉사 학습의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종합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선행 연구 중 실험연구 21편을 선정하였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이 학생 발달에 미치는 전체 효과크기는 어느 수준인가? 둘째, 범주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셋째, 연속형 변인에 따른 봉사학습의 효과크기는 얼마인가?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봉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는 0.688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매우 크다고 해석될 수 있다. 둘째, 학위논문의 효과크기가 학술지논문보다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봉사학습은 인지적 영역, 심동적 영역, 학업성취도, 정의적 영역 순으로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생 장애 여부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지적 장애, 일반 순으로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봉사학습의 네 단계(준비, 실행, 반성, 시연) 준수 여부에 따른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면, 준수한 경우, 준수하지 않은 경우의 순으로 효과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여섯째, 메타회귀분석 결과 봉사학습의 운영기간이 길수록, 프로그램 총 운영횟수가 많을수록 그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과 관련하여 연구결과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rvice-learning systematically through meta-analysis. Service-learning has been a newly evaluated model in curriculum development since implementation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er analyzed 21 primary studies which adopted experimental design for research methodolog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overall effect size of service-learning? Second, what are effect sizes of sub-group analyses on categorical variables? Third, what are effect sizes of meta-regression analyse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overall effect size was 0.688, which is very high. Second,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showed lower effect size than unpublished master’s theses and doctoral dissertation. Third, for educational domains, the effect of service-learning was cogni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academic achievement, and affective domain in order. Fourth, the effect siz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higher than students in full-range of classroom abilities. Fifth, for use of recommended practices, the effect of studies implementing all four stages of service-learning was higher than those where students were not fully engaged in every process. Sixth, according to meta-regression results, service-learning was more effective as the number of weeks and frequency increased. Finally, regarding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the researcher presented discussions on results and recommendations on future research in service-learning.

목차
요 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봉사학습
  2.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1. 분석 대상
  2. 자료 코딩
  3. 동질성 검사
 Ⅳ. 연구결과
  1. 봉사학습의 전체 효과크기
  2. 범주형 변수별 분석
  3. 메타회귀분석
 Ⅴ.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제언
 References
 Abstract
저자
  • 장봉석(충청대학교) | Jang, Bong Seok (Chungcheo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