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작방식이 다른 운전용 안경렌즈 착용 후 조도 변화에 따른 대비시력에 관한 연구
목적: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종류와 조도변화 따른 대비시력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안질환이나 전신질환 및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는 성인 남녀 30명 (25±2세)으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굴절률이 1.60인 제작방식이 다른 기능성 운전용 렌즈인 황색 계열(A)렌즈, 코팅방식(B,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렌즈를 착용 상태에서 대비시력검사, 색각(배열)검사, 시력회복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결과: 실험에 사용된 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은 명소시 50%, 30%, 15% 그리고 암소시 100%, 30%, 1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05), 명소시 100%, 암소시 50%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비시력은 명소시 상태의 5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03), 30%에서 코팅방식(B)렌즈 (logMAR 0.014),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암소시 상태의 대비 시력 10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3), 50%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07), 30%에서 코팅방식(C)렌즈(logMAR 0.017), 15%에서 코팅방식(B)렌즈(logMAR 0.050)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색각 (배열)검사결과는 황색계열(A)렌즈에서 가로지르는 선의 개수 평균은 6.05±1.75개이었고, 일반렌즈(N)렌즈, 코팅방식(B)렌즈, 코팅방식(C)렌즈에서는 가로지르는 선은 0개 나타났다. 시력회복시간은 명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코팅방식(B)렌즈 > 황색계열(A)렌즈, 암소시에서 일반렌즈(N)렌즈 > 코팅방식(C)렌즈 > 황색계열(A)렌즈 > 코팅방식(B)렌즈 순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결론: 운전용 안경렌즈와 일반 안경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 대비시력의 차이가 있었고 시력회복시간의 감소로 인해 시인성 향상이 나타났다. 색각검사에서 황색계열을 착용한 상태에서는 색의 시인성이 매우 감 소함을 알 수 있었고, 시력회복시간도 렌즈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운전자의 환경과 렌즈의 특성을 잘 파악하여 상황별 특성에 맞는 적절한 렌즈를 선택한다면 운전시 시기능 저하로 인한 문제들을 보완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visual function under photopic and scotopic conditions according to the type of functional driving lenses.
Methods : Thirty patients (mean age 25 ± 2 years) who have no general or ocular disease were recruited. Corrected Visual acuity (VA) of participants who have no ocular surgery history should be 1.0 or better bilaterally. They were asked to wear three different types of functional lenses (A, B, C lens) and one general lens (N lens, refractive index 1.60). Visual acuity (logMAR) was measured using the contrast chart and a trial frame for correction. The contrast VA was measured under 100%, 50%, 30% and 15% contrast under both photopic and scotopic conditions, and color vision test (Compact Magnetic Farnsworth Dichotomous D-15 array test) and vision recovery time with automobile head light were measured. Pre- and post-satisfaction with each functional lens is measured under the same environment. Data were analyzed by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Ver. 22.0 for Windows, SPSS Inc, USA) and ≥95% reliability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 Contrast VA with 3 types of functional le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100%, 50%, 15% contrast under photopic condition, and 100%, 50%, 30%, and 15% contrast under scotopic condition, respectively. However, in 30% contrast under photopic condition it was not shown significant. Contrast VA under photopic condition was the highest with C lenses (logMAR 0.002) at 100% contrast, C lenses (logMAR 0.005) at 50% contrast, B lenses (logMAR 0.015) at 30% contrast, and B lenses (logMAR 0.015) at 15% contrast. Contrast VA in scotopic condition was the highest with B lens (logMAR 0.006) at 100% contrast, B lens (logMAR 0.009) at 50% contrast, C lens (logMAR 0.019) at 30% contrast, and B lens (logMAR 0.052) at 15% contrast. In D-15 test, the mean number of lines crossing with A lens was 6.05 ± 1.7 and no lines crossing with N, B, and C lens was found. Visual recovery tim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order of C lens>B lens>A lens under photopic, and A lens>C lens>B lens under scotopic condition (p<0.05).
Conclusions : Compared to the normal lens, the driving lens was effective in increasing contrast visual acuity and reducing visual acuity recovery time. However, in the D-15 test color confusion occurred only in the A lens (yellow lens). In order to select a lens that is helpful to the night vision driver's vision, the manufacturer should offer the lens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correct use of each le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