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 Focused on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본 연구는 영상제작 인력의 특성을 고려하여 다양한 전문영역 및 다양한 직급의 영상제작 인력(402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직업만족도와 관련요인들의 직간접효과 및 조절효과를 밝힌 실증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이들의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의사소통 능력이나 대인갈등 요소에 의하여 증가 혹은 감소되는 지에 대한 이중매개효과를 입증하고, 셋째, 최근 영상제작분야에서의 성차별 문제에 대한 증대된 관심과 함께, 전술한 영상제작 인력의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직접효과 뿐 만 아니라,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의 이중매개효과가 성별에 따라서 어떻게 상이한 양상을 보이는지 규명해 볼 수 있도록 성별의 조절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자료분석 결과, 첫째, 업무자율성을 많이 가질수록 직업만족도도 높다는 사실이 밝혀져,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를 향상시키는데 업무자율성이 매우 중요한 선행요인임이 입증되었다. 둘째,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긍정적 직접효과는 특히 여성의 경우 남성에 비해 두배 이상 월등히 강하게 나타난 점이 주목된다. 셋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남성의 경우 의사소통능력을 매개(mediation)로 하여 한층 더 강화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넷째, 업무자율성이 직업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효과는 여성의 경우에서만 대인갈등을 매개로 약화되었는데, 이러한 대인갈등의 부분매개효과는 여성에게서만 발견되었다. 영상제작인력의 직업만족도에 업무자율성이 미치는 영향, 의사소통능력 및 대인갈등 등의 매개효과를 규명함에 있어서, 성별의 조절효과가 반드시 반영되어야 한다는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자료분석 결과 밝혀진 주요 사실들을 토대로, 영상제작 인력의 직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함의를 모색하고 논의하였다.
This study focuses on an empirical research, which is based on a survey conducted with 402 film and television workers. The predominant concern of the study consist of: (1) the direct effects of job autonomy on the job satisfaction of the film and television industry workers; (2)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 on their job satisfaction; (3)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The notable findings are as follow: First, the more job autonomy at work, the higher the job satisfaction. Therefore, it is proved that job autonomy is a very important factor to improve job satisfaction of film and television workforce. Second, the positive effect of women's work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is more than twice as high as that of men. Third, the positiv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is found to be further strengthened by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male,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communication competence proved. Forth, the positiv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satisfaction was weakened, which is mediated by interpersonal conflict among female workers, and the partial mediation effect of interpersonal conflict was found only in female. In order to study the effects of job autonomy on the job satisfaction of film and television workers, the mediating effects of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nflicts should be reflected in the moderation effect of gender. Some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s find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