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국내 차량 인증시험용 표준연료(경유) 도입 필요성 검토 연구 KCI 등재

A feasibility study on Introducing Reference Fuel(Diesel) for Testing Vehicles in South Korea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015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구 한국유화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pplied Science and Technology (KSAST))
초록

2016년 기준 국내 자동차 등록대수는 약 2,200만대를 육박하고 있으나[1], 국내 자동차용 표준 연료에 대한 기준은 부재한 상황이다. 자동차용 표준연료(Reference Fuel)는 차량의 연비와 배출가스를 인증하거나 새로운 자동차를 개발할 때 차량의 성능 등을 평가하기 위해 사용하는 연료를 의미한다. 현재 국내에는 차량의 배출가스, 성능, 연비시험 등을 위해 유통연료를 사용하고 있으며, 유통연료는 석유 및 석유대체연료사업법과 대기환경보전법상의 품질기준을 만족하지만 각 제조사의 원료와 공정 등에 따라 연료의 물성 차이가 있어 차량 시험 시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유통되는 자동차용 경유 품질모니터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자동차용 경유의 시험용 표준연료 기준(안)을 설정하고, CRDI 방식의 차량에 적용하여 표준연료 기준(안)을 평가하였다.

Although the number of registered cars in South Korea is about 22million but, there is no national standard for automobile reference fuel in South Korea. Reference fuel is the fuel used for certificating vehicle performance, emissions and fuel economy. Now, domestic market fuels are used as reference fuel. However, the quality of domestic market fuel is constantly changing by seasonal and fuel manufacturers. It may effect vehicle performance, emissions and fuel efficiency test result. On this study, market diesel fuel quality was monitored and reference fuel standard(draft) was set by reflecting market fuel monitoring result. Reference fuel standard(draft) was applied to CRDI engine.

목차
요 약
 Abstract
 1. 서 론
 2. 국내 자동차 인증시험용 경유 표준연료기준(안) 설정
  2.1. 해외 자동차용 표준연료 기준
  2.2. 국내 유통 품질 모니터링
  2.3. 표준연료 기준(안) 설정
 3. 표준연료 및 시험조건
  3.1. 표준연료 제조 및 분석
  3.2. 시험 차량 및 시험모드
  3.3 분석 장치
   3.3.1 차대동력계
   3.3.2 배출가스 분석기
   3.3.3 입자상물질(PM) 측정
   3.3.4 입자개수(PN) 측정
 4. 시험결과
 5. 결 론
 References
저자
  • 황인하(한국석유관리원, Korea Petroleum Quality & Distribution Authority) | Inha Hwang
  • 강형규(한국석유관리원, Korea Petroleum Quality & Distribution Authority) | Hyungkyu Kang
  • 성상래(한국석유관리원, Korea Petroleum Quality & Distribution Authority) | Sangrae Seong
  • 송호영(한국석유관리원, Korea Petroleum Quality & Distribution Authority) | Hoyoung Song
  • 하종한(한국석유관리원, Korea Petroleum Quality & Distribution Authority) | Jonghan Ha
  • 나병기(충북대학교 화학공학과,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Byungki Na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