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과 정소절제모델의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49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발생생물학회 (The Korea Society Of Developmental Biology)
초록

최근 고장성(20%) 생리식염수를 흰쥐 정소에 직접 주사할 경우, 혈중 테스토스테론 수준이 최저 수준에 도달하고 정소 조직이 완전히 파괴됨을 보고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기능적 ‘거세’ 효과를 유발하는 생리식염수 주사 모델의 효용성을 확인하기 위해 생식기관의 무게와 해부학적 변화, 그리고 생식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 발현을 정소절제모델과의 비교를 시도하였다. 생후 5개월된 수컷 흰쥐(S.D. strain)를 무처리군(intact; control), 정소절제군(orchidectomy), 식염수 주사군(saline-injection)으로 나누어 식염수 주사군에는 정소 당 750 ㎕의 멸균한 20% 식염수를 직접 주사하였고, 정소절제 수술은 식염수 주사가 행해진 날에 시행하였다. 주사 후 1, 2, 4주 및 3개월 경과 후에 동물을 희생하여 생식조직들을 채취하였다. 체중의 경우 무처리군과 비교하여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무게는 무처리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부정소와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의 무게의 경우 무처리군에 비해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조직학적 조사에서 식염수 주사군의 정소 대부분에서 괴사가 발견되었으며, 세정관내 정자를 확인할 수 없었다.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의 부정소, 저정낭 그리고 전립선 모두에서 무처리군에 비해 내강이 수축하여 면적이 크게 감소함이 관찰되었다. 시상하부에서 Kisspeptin의 mRNA 수준은 정소절제군과 식염수 주사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뇌하수체 호르몬 발현(Common alpha, LH-beta 그리고 FSH-beta subunit)은 대조군 대비 식염수 주사군에서 대체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본 연구는 정소 내 고장성 식염수 직접 주사모델이 정소절제와 유사한 테스토스테론 제거 효과를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안정성과 효용성에 대해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지만, 고장성 식염수 주사모델은 외과적 거세를 대체하면서 동시에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실험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저자
  • 곽병국(상명대학교 그린생명과학과)
  • 유다경(상명대학교 그린생명과학과)
  • 이성호(상명대학교 그린생명과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