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Comparison of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Degree of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s in Refractive Surgery Patients KCI 등재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에서 수술 전 굴절이상에 따른 대비시력과 대비감도 비교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793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000원
대한시과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Vision Science)
대한시과학회 (The Korean Society Of Vision Science)
초록

목적: 각막굴절교정 수술안의 수술 전 근시도에 따른 대비시력과 대비감도를 비교하였다.
방법: 각막굴절교정 수술안 68명과 정시안 2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대비시력은 고대비시력 (HCVA)과 저대비시력(LCVA)을 ETDRS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대비감도 검사는 CSV-1000E 사용하여 시행 하였다. 대비시력과 대비감도 검사는 밝은 조명과 어두운 조명 모두에서 각각 수행하였고 수술안은 수술 전 등가구면굴절력(SE) ˂ -6.00 D 와 ≥-6.00 D을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분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대비시력은 정시안을 포함한 세 그룹 사이에서 고대비시력(밝은 조명) (p=0.028), 저대비시력(밝은 조명) (p=0.047), 고대비시력(어두운 조명) (p=0.002), 저대비시력(어두운 조명) (p=0.018)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수술안 그룹 2가 수술안 그룹 1보다 대비시력이 감소하면서 수술안 두 그룹사이에도 통계적으 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대비감도는 정시안을 포함한 세 그룹 사이에서 밝은 조명에서 측정한 공간주파수 6(cpd)을 제외한 모든 공간주파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밝은 조명3cpd; p=0.002, 12cpd; p=0.006, 18cpd; p=0.000, 어두운 조명 3cpd; p=0.003, 6cpd; p=0.001, 12cpd; p=0.000, 18cpd; p=0.000). 수술 안에서는 수술안 그룹 2가 수술안 그룹 1보다 대비감도가 감소하였지만, 두 그룹 사이에는 통계적 차이는 나 타나지 않았다.
결론: 각막굴절수술안은 대비시력과 대비감도가 정시안과 비교하여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굴절수술 안에서 수술 전 굴절이상이 고도근시로 갈수록 대비시력과 대비감도가 감소하였으나 대비감도는 수술안의 두 그룹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발견할 수 없었다.

Purpose : To evaluate of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according to degree of preoperative myopia in refractive surgery patients. Methods : One hundred thirty-five eyes of 68 subjects who underwent myopic refractive surgery and 40 eyes of 20 emmetropes were enrolled. High and low contrast visual acuity (HCVA and LCVA) using ETDRS charts were measured. Contrast sensitivity test was performed using CSV-1000E.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test were performed under photopic and mesopic conditions, respectively. Post-op group was divided into two post-op groups based on pre-op spherical equivalent refractive power (SE) of ˂ -6.00 D and ≥-6.00 D. Results : In contrast visual acuity, among the three groups including emmetropic group,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CVA (photopic) (p = 0.028), LCVA (photopic) (p = 0.047), HCVA (mesopic) (p = 0.002) and LCVA (mesopic) (p = 0.018).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st-op groups while post-op group 2 had decreased contrast visual acuity compared to post-op group 1. In contrast sensitivit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t all spatial frequencies except for 6cpd with photopic condition among the three groups including the emmetropic group (photopic: 3cpd; p=0.002, 12cpd; p=0.006, 18cpd; p=0.000, mesopic: 3cpd; p=0.003, 6cpd; p=0.001, 12cpd; p=0.000, 18cpd; p=0.000). In the refractive surgery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post-op group 2 and group 1, although the contrast sensitivity of post-op group 2 was lower than that of post-op group 1. Conclusions : The contrast visual acuity and contrast sensitivity in the refractive surgery patients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at of the emmetropes. In the refractive surgery groups, the contrast visual acuity decreased with high myopia of ≥-6.00 D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trast sensitivity between the two groups by the degree of preoperative refractive err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연구대상 및 방법
  1. 대상자 선정
  2. 대비시력(Contrast Visual Acuity) 검사
  3.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검사
  4. 근시성 각막굴절교정 수술안 분석을 위한분류
  5. 통계 분석
 Ⅲ. 결과 및 고찰
  1. 대상자의 데이터
  2. 대비시력(Contrast Visual Acuity)
  3. 대비감도(Contrast Sensitivity)
  4. 대비시력과 대비감도의 상관 관계
 Ⅳ. 결론
 References
 요 약
저자
  • Jeong-Mee Kim(Dept. of Visual Optics, Far east University, Eumseong, 극동대학교 안경광학과, 음성) | 김정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