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아동의 눈-사지 협응과 물체조작 기술의 관계 KCI 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Eye-limb Coordination and Object-control Skills in the Early Childhood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698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차이를 알아보고, 두 변인군의 관계를 구명하는 데 있다. 피험자는 남?여 5-10세의 아동 18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눈-사지 협응 능력은 예측 타이밍 능력, 추적 능력, 전신 반응 능력을 측정하여 분석하였으며, 물체조작 기술은 TGMD(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에서 제시한 받기, 던지기, 치기, 차기, 튀기기 기술을 평가하였다. 먼저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연령과 성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이원 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5세의 아동 집단은 전반적으로 수행능력이 6세, 7세, 8세, 9세, 10세의 아동에 비하여 수행능력이 떨어졌으며, 10세의 아동은 다른 연령 집단에 비하여 우수한 수행능력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5-6세, 9-10세의 연령 시기가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이 변화되는 시기임을 나타내주고 있으며 이는 연령에 따른 특징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눈-사지 협응 능력과 다르게 물체조작 기술에 있어서는 성별에 따른 수행 능력이 9세와 10세의 연령 집단에 있어서 상반된 특징이 나타났다. 즉 남자 아이들의 경우, 9세의 연령 집단과 비교하여 10세의 연령 집단은 물체조작 기술의 수행 능력이 급격하게 증가한 반면에 여자 아이들은 수행 능력이 떨어지는 특징을 보였다. 또한 눈-사지 협응과 물체 조작 기술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정준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 두 과제간 상관계수 .599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관계를 설명해 주는 각 변인들의 상대적 기여도를 살펴보면, 눈-사지 협응 능력에서 손과 발을 사용한 예측 타이밍 능력이 추적 및 전신 반응 능력보다 높은 기여도를 보였다. 또한 물체조작 기술에 있어서는 받기와 튀기기 능력이 눈-사지 협응 능력과 물체조작 기술의 상관관계를 설명하는데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of eye-limb coordination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with age and sex, and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wo-variable groups. For this experiment, 186 children with the age of 5 to 10(99 boys and 87 girl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anticipation timing ability, pursuit ability and reaction ability) and the object-control skill(catching skill, throwing skill, striking skill, kicking skill, bouncing skill) suggested in TGMD(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were tested. The two-way ANOVA was use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according to age and sex. As a result, children with the age of 5 demonstrated the lowest performance while children with the age of 10 showed high performance significantly among age groups. The children with the age of 5 to 6 and 9 to 10 were found to be two critical periods of change with age. However, unlike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there was a distinctive feature in the object-control skills of the age 9 and 10 over sex. 10 year-old boys showed a radical progress, but the 10 year-old girls showed a decline on the object-control skills compared with the 9 year-old.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as used to exami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imb coordination and the object-control skills for the early childhood. The relationship revealed significantly showing canonical correlation with coefficient .599. Overall, the results indicated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such as anticipation timing ability with hand and foot showed higher role than pursuit and reaction ability. In addition, the object control skills such as catching and bouncing ability contributed importantly in expla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ye-limb coordination ability and the object control skill.

저자
  • 김선진(서울대학교) | Kim Seon-Jin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한동욱(서울대학교) | Han Dong-Wook (Seoul National University)
  • 박승하(서울대학교) | Park Seung-Ha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용호(서울대학교) | Kim Yong-Ho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