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다양한 음높이 구조에서 감각정보 형태에 따른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 KCI 등재

Control of Action on Temporal Timing across Sensory Information in Different Pitch Structur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36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다양한 음높이 구조에서 감각정보 형태에 따른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오른손이 우세손인 16명의 연구 대상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실험 과제는 리듬 지각 및 타이밍 협응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목표 과제의 타이밍 구조를 지각한 후 동일한 타이밍으로 키보드 자판을 누르는 것이었다. 각 연구 수행자는 세 가지 음높이 조건(단음, 상승음, 하강음)의 네 가지 리듬 구조를 감각정보 조건(단일(청각)감각, 다중(시청각)감각)에 따라 각각 12회씩 총 24회를 무선적으로 수행하였다.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절대적 타이밍 오차와 상대적 타이밍 오차를 분석하였으며, 개인차를 고려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음높이 구조별 타이밍 능력을 절대적 및 상대적 타이밍 오차 기준에서 각각 상대 비교하여 상승음이 우수한 집단(AG)과 하강음이 우수한 집단(DG)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16명의 전체 연구 대상자의 결과를 살펴보면, 절대적 타이밍 오차의 분석에서는 다중감각 조건보다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대적 타이밍 오차 분석에서는 단일감각 조건보다 다중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타이밍 능력별로 AG와 DG 집단의 비교 분석 결과,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우수한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난 반면, 단일감각 조건에서 타이밍 능력이 떨어진 집단은 다중감각 조건에서 수행력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과제제한 요소와 개인제한 요소의 성격에 따라 타이밍 동작 제어 특성이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리듬 및 타이밍 과제의 현장 적용에 있어서 과제와 개인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ontrol of action on temporal timing across pitch structure and sensory information pattern. Subjects were 16 female adults who performed a sequential timing task. The experimental task was to press marked + keyboard on sequential movement task with 5 segments/trial, which consisted 3 trial on pitch structure(uni tone, ascending tone, descending tone) and 2 trial on sensory information pattern(mono-auditory, multi-visual & auditory) with 4 different rhythm structures, For examining the control of action temporal timing two timing error measured by Rhythm Perception & Timing Coordination Program, which consisted of absolute error and relative error.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erms of absolute error, subjects showed lower timing error with mono sensory pattern, however, in terms of relative error, subjects showed lower timing error with multi sensory pattern. The result of group performance showed that Group sorted by better timing control in mono sensory information showed high timing error in multi sensory information pattern. Group sorted by poor timing control in mono sensory information showed low timing error in multi sensory information pattern. We conclude that this results showed characteristics of task constrain and individual constrain were affect temporal timing.

목차
국문초록
 I. 서론
 II.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실험도구 및 과제
  3. 실험절차
  4. 자료 산출 및 분석
  5. 통계 분석
 III. 연구 결과
  1. 전체 연구대상자의 절대적 및 상대적타이밍 오차
  2. 집단별 절대적 및 상대적 타이밍 오차
 IV.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수연(이화여자대학교) | Kim Sooyeon (Ewha Womans University)
  • 노미영(이화여자대학교) | Roh Miyoung (Ewha Womans University)
  • 박승하(이화여자대학교) | Park Seungha (Ewha Womans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