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계획된 행동이론을 이용한 청소년의 신체활동 의도와 행동 예측: 가족의 지지와 성격특성의 역할 KCI 등재

Predicting Adolescents`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and Behavior Us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Roles of Family Support and Personal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1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들의 신체활동에 대한 가족의 지지, 성격 특성, 계획된 행동이론의 주요 구성개념(태도, 주관점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참여의도 및 신체활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단계에서는 번안된 질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해 1개 중학교 학생 180명(남학생=90명, 여학생=90명)이 참여하였고, 2단계 본조사에는 2개 중학교로부터 총 449명(남학생=238명, 여학생 =211명)이 참여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의 결과 가족의 지지가 태도에 직접 영향을 주지만 주관적 규범과 태도를 통해 신체활동 행동에 간접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성격특성은 주관적 규범과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신체활동 의도를, 지각된 행동통제를 통해 신체활동 행동을 간접적으로 예측하였다. 다집단 분석 결과 태도와 행동통제에 미치는 성격특성의 영향력은 남학생 집단에서, 신체활동 의도에 미치는 행동통제의 영향력은 여학생 집단에서 강하게 작용하였고, 외향적 성격특성이 높은 남녀 학생일수록 신체활동 행동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support, personality trait, constructs of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attitude, subjective norm, perceived behavior control),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and behavior. In step 1, 180 students (90 males, 90 females) from a middle school participated in order to evaluat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ventory translated into Korean. In step 2, 449 students (238 males, 211 females) from two middle schools participated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latent variable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family support had a direct effect on perceived attitude, but did not predic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via perceived attitude and subjective norm. in contrast, personality trait not only predicted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via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 control, but also predicted physical activity behavior via perceived behavior control. The results of multi-group analysis showed that the direct effects of personality trait on perceived attitude and behavior control were stronger in males than females, whereas the direct effect of perceived behavior control on intention for physical activity was stronger in females than males. Moreover, males and females with high activity trait positively participated in physical activity in comparison with those of low activity trait.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측정모형의 타당도 평가
  2.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3. 확인적 요인분석
  4. 집단 간 구조모형 적합도 비교
  5. 성과 성격특성의 중재효과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교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