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 기대-가치 질문지의 교차 타당성 검증 KCI 등재

Testing a Cross-Validity of the Expectancy-Value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29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자기-과제 지각 질문지(Eccles & Wigfield, 1995)의 번역본(박중길, 김승재, 이경환, 2010)에서 4요인 14문항을 이용하여 제작된 체육 기대-가치 질문지의 구인 동등성과 잠재평균 차이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참여자는 1,236명의 남녀 중고등학생이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4요인(내적흥미, 중요성, 유용성, 능력/기대관련 믿음)으로 구성된 측정모형은 만족할만한 적합도를 보였다(x2=255.86, df=76, p<.000, Q=3.60, RMR=.048, GFI=.935, TLI=.953, CFI=.963, RMSEA=.071). 성별과 학년급간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의 결과 형태 동등성, 측정 동등성, 절편 동등성, 그리고 요인분산 동등성 모형은 매우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내적 흥미, 중요성, 유용성 및 기대/능력 믿음 요인에 대한 잠재평균분석의 결과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모든 요인의 수준이 높고, 고등학생이 중학생보다 모든 요인의 수준이더 낮았다. 따라서 체육 가대-가치 질문지는 남녀 중고등학생들에게 공통으로 적용 가능하며, 체육에 대한 가치 지각과 기대관련 믿음은 성별과 학년급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a factorial invariance and latent means of the Expectancy-Value Questionnaire in Physical Education made of four factors with fourteen items, based on a version translated into the physical education setting from the Self- and Task-Perception Questionnaire(Eccles & Wigfield, 1995). Participants were 1,236 boys and girls secondary school students.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showed satisfactory measurement model fit for all students (x2=255.86, df=71, p<.000, Q=3.60, RMR=.048, GFI=.935, TLI= .953, CFI=.963, RMSEA=.071). Multi-group factor analyses examin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factor-variance invariance model produced good model fit across gender and grades. Results of latent mean analysis indicated that all sub-factors of internal interest, importance, utility, and expectancy/ability-related beliefs were higher in boys than girls and were lower in high school students than middle school students. In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is questionnaire can be used commonly for all of secondary students, and its latent mean differs across gender and grade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자료수집
  4. 자료분석
 Ⅱ. 결 과
  1. 탐색적 요인분석
  2. 신뢰도
  3. 구인 동등성과 잠재평균 비교
 Ⅳ. 논 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유영란(단국대학교) | You Young-Ran (Dankook University)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