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통제-가치 이론을 이용한 학생의 성취정서 이해: 체육수업에서 동기적 믿음의 역할 KCI 등재

Understanding Students` Achievement Emotions Using the Control-Value Theory: The Roles of Motivational Belief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체육수업에서 학생들의 성취정서에 대한 성취목표와 자기효능감의 중재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중학생 447명(남학생=232, 여학생=215명)이 참여하였으며, 자료는 확인적 요인분석, 일원 다변량분석, 상관분석 및 중재적 위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의 결과 숙달접근목표와 자기효능감 지각은 즐거움과 희망, 자부심의 긍정적 활성화 정서를 정적으로 예측하는 주요 변수이며,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목표는 화, 불안, 수치심의 부정적 활성화 정서 및 희망없음과 지루함의 부정적 비활성화 정서를 예측하는 주요 변수로 나타났다. 숙달접근과 수행접근목표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긍정적 활성화 정서와 부정적 활성화 정서에, 숙달접근과 수행회피목표의 유의한 상호작용이 부정적 활성화 정서에 영향을 주었다. 더욱이, 숙달접근과 수행접근목표 및 자기효능감이 긍정적 활성화 정서에, 숙달회피와 수행회피목표 및 자기효능감이 부정적 활성화 정서와 부정적 비활성화 정서에, 그리고 수행접근과 숙달회피목표 및 자기효능감이 부정적 비활성화 정서에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주었다. 본 결과는 성취목표간의 잠재적 상호작용과 자기효능감의 중재적 효과 규명이 체육시간에 학생들이 경험하는 성취정서와 동기를 이해하는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ed effects of students` achievement goals and self-efficacy on achievement emotions in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participants were 447 middle school students (232 boys, 215 girls). For data,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one-way MANOVA, correlation, and moderate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perceptions of mastery-approach goal and self-efficacy to be important predictors of positive activating emotions including enjoyment, hope, and pride, as well as mastery-avoidance and performance- avoidance goals to be predictors of negative activating emotions including anger, anxiety, shame, and negative deactivating emotions including hopelessness and boredom.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s for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goals in positive and negative activating emotions, and for mastery-approach× performance-avoidance goals in negative activating emotions emerged. In addition, three-way interactions between mastery-approach, performance-approach, and self-efficacy in positive activating emotions, between mastery-avoidance, performance-avoidance, and self-efficacy in both negative activating and deactivating emotions, and between performance-approach, mastery-avoidance, and self-efficacy in negative deactivating emotions emer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investigating the potential interplay between both approach and avoidance goal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ay contribute our better understanding of motivation and achievement emotions experienced by students in physical education.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수집
  4. 자료처리
 Ⅲ. 결 과
  1. 체육 성취정서 질문지의 타당도
  2. 기술통계
  3. 상관관계
  4. 위계적 회귀분석
 Ⅳ. 논의 및 제언
  1. 논의
  2.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Park Jung-Gil (Korea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