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 운동선수들의 동기분위기, 재미 및 운동 몰입 간의 인과관계 검증: 재미의 매개효과 KCI 등재

The Validation of Causality Model of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Sport Fun, and Commitment among Adolescent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7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선수들이 지각한 동기 분위기와 재미, 운동 몰입의 인과모형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총 738명의 남자 청소년 축구, 농구, 야구 선수들을 대상으로 동기분위기지각, 스포츠 재미, 운동몰입(commitment)검사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석, 이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고, 이론적으로 가설화된 인과모형은 구조방정식 모델로 검증하였다. 나타난 결과 첫째, 청소년 선수들은 경쟁분위기 보다 숙련분위기 지각이 더 높았고, 농구와 야구선수들이 축구선수들보다 숙련분위기 지각이, 야구와 축구 선수들이 농구선수들보다 경쟁분위기 지각이 더 높았다. 둘째, 스포츠 재미는 모든 요인에서 학교급별, 종목 간 차이를 보였고 단지 유능성 지각만 학교급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행위몰입은 종목 간 차이가, 인지몰입은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났다. 넷째, 숙련 분위기 지각은 운동 재미와 몰입에 정적 상관을, 경쟁분위기지각은 부적 혹은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섯째, 가설화된 인과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다. 숙련분위기 지각은 재미에 정적 영향을, 몰입에는 간접영향을 미쳤으나, 경쟁분위기 지각은 재미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고, 몰입에는 부적영향을 미쳤다. 재미는 몰입에 높은 정적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다집단 분석결과 인과모형은 학교급별(중/고), 종목별(축구/농구/야구) 모든 집단에서 적합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이론적, 실증적 논의를 전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causality model of adolescent players` perceived motivational climate, fun, and commitment. Data were collected from 738 male adolescent players in soccer, basketball, and baseball team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tests, MANOVA, two-way ANOVA, correlation tests and SEM were conducted to validate the hypothesized causality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adolescent players had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 of mastery climate than competitive climate. Basketball and baseball players had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 of mastery climate than soccer players, whereas baseball and soccer players had higher scores on the perception of competitive climate than basketball player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all the factors of sport fun by level of schools and sport typ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n perception of competence by level of school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 behavior commitment by sport types and there was interaction effect on cognition commitment. Fourth, the perception of mastery climate was positively associated with sport fun and commitment but the perception of competitive climate didn`t have any or negative association with fun and commitment. Fifth, the hypothesized causality model showed a good fit. The perception of mastery climate had a positive impact on fun and indirect effect on commitment. The perception of competitive climate did not affect fun but affected commitment negatively. Fun had high positive impact on commitment. Finally, multi-group analysis revealed that the causality model was fit for all the groups(high/middle school groups, and sport types).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측정도구
  3. 절차
  4. 자료분석
 Ⅲ. 연구 결과
  1. 기술통계 및 평균비교
  2. 상관 분석
  3. 인과모형 검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허정훈(중앙대학교) | Huh Jung-Hoon (Chung-ang University)
  • 설정덕(중앙대학교) | Sul Jung-Duk (Chung-ang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