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체육수업 중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 태도, 만족도 및 재미거리 관계에서 내적 동기의 매개역할 검증 KCI 등재

Mediational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Students` Satisfaction, Enjoyment and Attitudes toward Physical Education Clas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94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체육수업 중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가 수업 태도, 수업만족도 및 재미 거리와의 관계에서 내적동기의 매개역할을 알아보는데 있었다. 연구의 대상은 총 580명으로 중학생 248명, 고등학생 332명이었다. 연구의 목적을 알아보기 위하여, 부분 매개모형을 이용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이 실시되었다. 구조방정식모형의 분석 결과, 학생들이 지각한 케어링은 내적 동기, 만족도, 재미거리에 직접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체육수업 내적동기가 지각된 케어링 분위기와 태도, 만족도, 재미거리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모형 적합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χ2=280.0, df=80, p<.001, Q=3.56, CFI=.964, TLI=.953, RMSEA=.067, RMR=.026). 본 연구의 결과는 자결성 이론의 주요 선행요인인 관계성 요인으로써 지각한 케어링 분위기가 체육수업에 참여하고 있는 학생들의 내적 동기를 향상시켜 수업에 임하는 바람직한 태도의 유도는 물론, 수업에 대한 만족도를 높임을 보여주며, 나아가 체육수업에 내재하는 재미거리 향유를 유도하는 주요 사회 환경적 요인의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mediational role of intrinsic motivation between perceived caring climate and satisfaction, attitudes, and enjoyment. For this study, a total 580 students were recruited(middle school students: 248, high school students: 332). To answer for the proposed research ques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tilized. Partial mediational model was adopted to test proposed model.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nfluence of perceived caring climate on satisfaction and enjoyment. For indirect effects, th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howed that perceived caring climate predicted intrinsic motivation which, in turn influences students` satisfaction, attitudes, and enjoym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further research need to pay attention on social environmental variable which is expected positive psychological and behavior consequences in motivational proces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기술통계
  2. 측정모형 평가
  3. 구조 방정식 모형 분석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심윤식(서울대학교) | Yun-Sik Shim (Seoul National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