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과 관련된 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 KCI 등재

College Students`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Related to Weekly Exercise Tim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49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 학년, 운동변화단계에 따른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을 확인하고, 남·녀 대학생의 주당운동시간에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그리고 운동지속의사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생 404명(남자 197명, 여자 207명)에게 설문지를 실시하고, SPSS 18.0와 AMOS 18.0을 이용하여 문항분석, 변량분석, 신뢰도분석, 타당도분석, 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성과 운동변화단계에 따라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 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이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단계적 회귀분석결과, 남성의 경우 주당운동시간을 예측하는 설명량은 43.6%이며, 여성의 경우는 37.8%로 나타났으며, 그 영향요인은 다소 차이가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신체활동을 증가시키는데 운동 자기-도식의 형성이 중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성차를 고려한 중재 전략이나 프로그램과 관련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dentify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by exercise stage of change, grade and sex, and to explore influence exercise stage of change, exercise self-schemata and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on weekly exercise time. For this research, it was accomplished 404 questionnaires (male 197, female 207) and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by using SPSS 18.0 and AMOS 18.0. The results indicated that i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exercise self-schemata, exercise adherence intention and weekly exercise time on exercise stage of change(p<.05). In addition,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ignificant influence factors on weekly exercise time for male(R2 = .436) and female((R2 = .378). The current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exercise self-schemata for increasing physical activity and suggests that future study should be focused on intervention strategies considering gender difference or program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조사대상
  2. 측정도구
  3. 연구절차
  4. 자료분석
 Ⅲ. 결 과
  1. 성, 학년, 변화단계별 운동 자기-도식과 운동지속의사 그리고 주당운동시간의 차이
  2. 주당운동시간과 운동변화단계, 운동 자기-도식, 운동지속의사 변인간의 상관성
  3. 변인들의 주당운동시간 예측효과
 Ⅳ. 논 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인경(서울과학기술대학교) | In-Kyoung Park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 김영호(서울과학기술대학교) | Young-Ho Kim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