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중·고등학교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KCI 등재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ort Team Interaction Scal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83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팀 구성원들의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도구의 개발과 개발된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함으로써 스포츠 팀 경기력 향상을 위한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의 대상은 중, 고등학교 단체종목 선수(축구, 농구, 배구)를 총 63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 238명,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도 검증에 352명의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다집단 확인적 요인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탐색적 요인분석의 결과 최종적으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는 다차원으로 구성된 총 5요인, 25문항으로 개발되었다. 타당성 검증 결과 5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된 스포츠 팀 상호작용 척도가 구조적으로 비교적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념타당도, 교차타당도, 수렴타당도 모두 제시된 기준치를 충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Purpose: Team cohesion and team work are the usual components for explanation of team performance in Korean sport psychological field which is somewhat limited. So for the purpose of systematic and effective explanation of performance,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port Team Interaction Scale. Methods: The 635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ected from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am sports players (soccer, basketball, volleyball) specifically 238 for exploratory factor analysis, 352 f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verification. Data was analyz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sults: Base on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port team interaction scale was developed multidimensionally with 5 factors and 25 questions. The measuring model of sport team interaction scale showed structural appropriation by validation. Furthermore result of construct validity, cross validity, convergent validity satisfied the threshold. the findings from this research may shed light on the scientific and objective knowledge in performance improvement of team sports.

목차
I.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윤리적 고려
  3. 조사도구
  4. 연구절차
  5. 분석방법
 Ⅲ. 결 과
  1. 문항분석
  2. 탐색적 요인분석
  3. 확인적 요인분석
  4. 개념타당도
  5. 교차타당도
 Ⅳ. 논의
 참고문헌
저자
  • 강현우(성균관대학교) | Hyun-woo Kang (Sungkyunkwan University)
  • 양해영(성균관대학교) | Hae-young Yang (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