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ctivation by Brain Areas According to Stress Relation Training and Stimulation
본 연구는 30-40대의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스트레스 완화 훈련과 자극에 따른 뇌 활성화 영역을 알아보고자 명상이나 규칙적인 운동 경험이 없는 대상자 30명을 실험군, 유산소운동군, 통제군에 각각 10명씩 무선 배치하여 8주간, 주 3회 회당 50분간을 각 집단별 실험처치에 따라 실험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훈련을 마친 후, 3분간의 청각소음 및 암산 스트레스원에 노출시켰을 때, 자극제시 전·후의 F3, Fz, F4, C3, C4, P3, Pz, P4 등 9개의 뇌파 전극 부위에 대해 알파파와 감마파의 크기 해석을 통한 국부적 변화 및 공간적 상관도(coherence)를 분석하였다. 반복측정 이원분산분석 결과, 알파파의 F3와 C3 부위에서 자극제시 전·후에 집단과 시기에서 유의한 변화를 나타냈으며, 감마파에서는 F3부위에서만 시기와 집단×시기의 상호작용 효과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 그리고 Coherence 해석에 따른 윌콕슨 검정 결과, 알파파에서 유산소군과 통제군은 자극제시 전·후에 국부적으로 감소한 반면, 실험군에서는 오히려 증가하였으며, 감마파에서도 실험군이 유산소군과 통제군에 비해 뇌 전체 영역에서의 더 많은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군의 뇌호흡에 기반을 둔 신체적, 인지적 기법의 훈련적용은 단시간의 일회적 스트레스 자극에 대해 뇌 기능 상태를 보다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상태로 유지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brain activation according to stress relaxation training and stimulation with middle-aged subjects, assigned each 10 of 30 subjects without meditation or regular exercise experiences to experimental group, aerobic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randomly and carried out the experiment for 50 min per every session by three times a week for eight weeks according to experimental methods for each group. After eight-week training, when they were exposed to aural noise for 3 minutes and stressor of mental arithmetic, local change and spatial coherence of nine electroencephalogram electrode parts including F3, Fz, F4, C2, Cz, C4, P3, Pz and P4 before and after stimulation were analyzed through power interpretation of alpha wave and gamma wave. As a result of repeated measure two-way ANOVA, F3 and C3 parts of alpha wav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at group and time before and after stimulation and F3 part of gamma wave showed a significant change in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group^(×)time. As a result of Wilcoxon test according to Coherence interpretation, while aerobic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showed local decrease of alpha wave before and after applying stimulation, experimental group rather showed its increase and also showed more significant increase of gamma wave in the whole areas of brain than aerobic exercise group and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pplying physical and cognitive training methods based on brain respiration of experimental group has a potential to keep more stable and efficient state of brain functions from temporal stress stimu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