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청소년의 체육수업 재미와 정신건강 및 관련 변인의 관계 KCI 등재

Relationship between enjoyment of physical education class, mental health, and related variables in high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51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청소년기의 운동은 신체건강뿐 아니라 정신건강의 증진에도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고교생의 체육수업 재미와 정신건강의 관계를 알아보고, 체육수업에 관련된 변인들과 참여 학생들의 인식이 체육수업 재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는 것이었다. 대도시에 소재하고 있는 고등학교 2학년 남녀 학생 800명에게 질문지와 검사지가 배포되어 766명의 응답이 데이터로 사용되었다. Spearman의 rho분석 결과 체육수업 재미는 정신건강의 우울(r=-.09), 피로(r=-.09), 활력(r=.28), 혼동(r=-.08)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5). t-검정에서는 남자가 여자보다, 자연계가 인문계보다, 국공립학교가 사립학교보다 체육수업 재미가 큰 것으로 밝혀졌다(p<.001). 일원변량분석(ANOVA)과 Shaffe의 사후검정에서는 교사에 대한 호감, 교사의 수업방식, 학생의 수업동기, 학생의 교우관계, 및 학생의 전 학기 체육성적이 체육수업 재미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관찰되었다(p<.001). 그러나 학생의 비만수준과 일반 학업성적은 체육수업 재미와 유의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육수업 재미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상대적 공헌도를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수행한 결과 회귀식(Y)에 수업동기(β=-.460), 수업방식(β=-.184), 교사호감(β=-.159), 성별(β=-.121), 교우관계(β=-.074)가 차례로 선택되었다(F=181.14, p<.001). 수요자인 학생들의 관점에서 체육수업을 이해하여 즐거움과 수업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후속 연구들이 더욱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one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njoyment of physical education (PE) class and mental health in high school students. The other one was whether students' perception of PE class and related variables affect their enjoyments of PE. A total of 876 high school sophomores students (male 415, female 408) responded to the Profile of Mood States (McNair, Lorr & Droppleman, 1988) and the Enjoyment Scal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developed by researchers. Spearman' s rho indicated that the enjoyment of PE i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r=-.09), fatigue (r=-.09), vigor (r=.28), and confusion (r=-.08) of mental health (p<.05). Independent t-test show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enjoyment of PE class between male vs female, between public school vs private school, and between human science major vs natural science major (p<.001). One-way ANOVA revealed that intimacy with PE teacher, teacher's instruction method, student's participation motivation for PE class, sociality with peers, and previous PE grade influenced the enjoyment (p<.001). However, class standing and obesity level were not shown to influence on the enjoyment of PE clas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motivation (β=-.460), the instruction method (β=-.184), the intimacy (β=-.159), the gender (β=-.121), and the sociality (β=-.074) were chosen in predicting the enjoyment of PE class (p<.001). Future researches on PE class enjoyment are needed to develop student-centered and more effective teachings.

저자
  • 류호상(영남대학교) | Ho Sang Yoo 교신저자
  • 이옥동(영남대학교) | Ok Dong Lee
  • 정연택(영남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