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보조용구 사용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 KCI 등재

A Research on the Stat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Handicapped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7964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지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대한보조공학기술학회 (The Korean Society of Assistive Technology)
초록

목적 : 본 연구는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의 자세보조용구 사용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통해 향후 자세보조용구 지원 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을 대상으로 2011년 3월 2일부터 2011년 3월 30일까지 전국의 병원, 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 특수학교를 중심으로 자세보조용구에 대한 설문지를 메일로 배포하여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526개의 자료가 수집되었고 최종적으로 47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 자세보조용구의 필요성 조사 결과 전체 대상자의 89%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는 대상자의 43%만이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자세보조용구를 보유하고 있지 않은 이유는 ‘가격이 비싸서’가 52.23%, ‘어떤 것이 필요한지 몰라서’가 43.01%, ‘어디서 사야 하는지 몰라서’가 3.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세보조용구를 사용하고 있지 않는 이유는 ‘작아져서’가 44.68%, ‘안 맞아져서’가 17.02%였다. 대상자들이 보유하기를 원하는 자세보조용구 품목은 특수의자, 특수휠체어, 선자세보조기구, 차량용자세보조기구, 목욕자세유지기구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 앞으로 18세 미만 뇌병변 장애인에게 자세보조용구를 제공하는 서비스를 시행할 때에는 전문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각 각의 대상자에게 적합한 최적의 자세보조용구를 평가하도록 하고, 구입 후 사후 관리에 대한 교육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자세보조용구의 사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tat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handicapped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and supply basic data for R&D.
Methods :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handicapped 526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at hospitals, wellfare centers, assistive technology service centers, and special-education schools. The survey period was from 2 to 30, March, 2011.
Results : 89 percent of respondents replied that they need postural assistive devices, however only 43 percept of subjects have had devices in reality. The reason why they don’t own postural assistive devices were that ‘device price is so high(52.23%)’, ‘they don’t know what device they need(43.01%)’, and ‘they don’t know where they buy them(3.41%)’. That was why they don’t use postural assistive devices were that ‘the device became smaller(44.68%)’, and ‘the device didn’t fit(17.02%)’. The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possession were that special chairs, special wheelchairs, standing posture devices,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car, and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bathing.
Conclusion : In the future, in order to provide services to the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the paediatrics and adolescent with brain lesions under 18, the professionals with a high level of expertise have to evaluate suitable optimal postural assistive devices for each child with brain lesion, and after purchasing, it will be build up education for the management and continuous supervision for effective use of postural assistive devices.

목차
국문초록
 I. 서 론
 II.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및 자료 수집
  2. 연구 도구
  3. 분석 방법
 III. 연구 결과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자세보조용구 사용 실태 및 지역사회활동 참여 여부
  3. 자세보조용구 품목 관련 사항
 IV. 논의 및 고찰
 V.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최유임(호원대학교 보건복지대학 작업치료학과) | Choi, Yoo-Im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Wellbeing, Howon University)
  • 전병진(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Jeon Byoung-ji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Konyang University)
  • 김은주(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재활학과) | Kim Eun-Joo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Alternative Medicine, Jeonju University) 교신저자
  • 이상헌(순천향대학교 의료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Lee Sang-He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Medical Sciences, Soonchunhyang University)
  • 송창순(전남과학대학 작업치료과) | Song, Chiang-Soon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hun-Nam Techno College)
  • 김미정(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보조공학서비스센터) | Kim Mi-Jung (Dept. of Assistive Technology, Seoul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 정민예(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Jung Min-Ye (Dept. of Occupational Therapy, College of Health Science, Yonsei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