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고등학교 탁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척도 개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stress inventory for highschool table tennis player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1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고등학교 탁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원을 규명하고 이를 기초로 탁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 척도를 개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탁구선수의 운동스트레스원을 탐색하기 위한 과정과 예비문항을 제작하여 예비조사와 본조사의 과정을 거쳤다. 고등학교 탁구선수가 갖는 잠재적 스트레스 요인을 포괄적으로 탐색하기 위한 개방형 설문은 150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실시하였다. 개방형 설문을 통해 494사례의 스트레스 상황이 수집되었으며, 이중에서 중복되거나 유사한 내용을 제외한 144사례의 원자료를 추출하였다. 원자료에 대한 세부영역과 일반영역의 귀납적 범주화 결과 39항의 세부영역으로 분류하였으며, 39항의 세부영역은 ① 지도력불만(117사례, 24%), ② 경기내용불만(69사례, 14%), ③ 운동기능불만(67사례, 14%), ④ 진로고민(51사례, 10%), ⑤ 심리적 압박감(30사례, 6%), ⑥ 여가불만(29사례, 6%), ⑦ 신체상태불만(28사례, 6%), ⑧ 연습불만(27사례, 5%)과 사생활불만(27사례, 5%), ⑨ 팀 동료와의 갈등(21사례, 4%), ⑩ 부모님에 대한 불만(20사례, 4%), ⑪ 기타(8사례, 2%) 등 12개 항목의 일반영역으로 분류하였다. 개방형 설문의 귀납적 범주화 결과를 바탕으로 62문항의 예비척도 문항을 제작하였으며, 남자 96명과 여자 102명 등 총 198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예비조사결과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을 거쳐 적절치 못한 20문항을 삭제하여 42문항의 본조사 도구를 확정하였다. 본조사는 남자 18개 팀의 103명과 여자 21개 팀 121명 등 총 224명의 고등학교 탁구선수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조사 결과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을 반복하여 최종적으로 25문항을 확정하였으며, 지도와 연습불만, 진로와 학업고민, 경기내용과 기능불만, 사생활불만의 4개 하위요인이 추출되었다. 확정된 고등학교 탁구선수 운동스트레스 검사지는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모델의 적합성을 검증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ed stress inventory with reliability and validity for highschool table tennis player. Participants were 224 high school male and female table-tennis players registered in the Korea Table-Tennis Association. To generate initial stress items, 150 players responded to an open-ended questionnaire regarding stress situation as a table-tennis player. Inductive content analysis of the responses resulted in 494 cases of stress situations for high school table-tennis players. The data were grouped into 39 themes regarding specific stress domain. Specific domains were categorized into 12 general domains. In this result, highschool table-tennis players were affected by the following factors, ① dissatisfaction with coaching(117cases, 24%), ② dissatisfaction with game result(69cases, 14%), ③ dissatisfaction with skills(67cases, 14%), ④ career concern(51cases, 10%), ⑤ psychological pressure(30cases, 6%), ⑥ lack of leisure time(29cases, 6%), ⑦ dissatisfaction with physical condition(28cases, 6%), ⑧ restricted private life(27cases, 5%), ⑨ dissatisfaction with training(27cases, 5%), ⑩) team-mate conflicts(21cases, 4%), ⑪ dissatisfaction with parent(20cases, 4%), ⑫ the others(8cases, 2%). Drawing o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62 stress items for table-tennis player were generated. In the preliminary study stage, 198 high school table-tennis players were completed the preliminary version. Based on the results of discritive statistics and reliability analysis, 42 items on stress were adopted for further item refinement. In the main study, 224 high school table-tennis players completed the 42-item versions. As a result of checking validity, internal consistency, item-total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ess inventory for table-tennis player was made up of 25 items. After the results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l the index values was appeared fit. The results of the analysis lead to 4-factor 25-item stress inventory for high school table-tennis players. The inventory contained four stress-specific subfactor; dissatisfaction with coaching and training, career and academic concern, dissatisfaction with game result and skills, dissatisfaction with restricted private life.

저자
  • 이강헌(창원대학교) | Kang Hun Lee 교신저자
  • 오윤경(창원대학교) | Yoon Kyeong O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