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운동선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KCI 등재

Effects of Self-management Training on Psychological Skills and Self-management Practices in Professional Player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40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운동선수의 자기관리는 스포츠 상황에서 경기의 승패와 선수생활의 성공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 자기관리는 우리 문화적 특성에서 발견되는 선수의 고유한 행동으로 선수는 물론, 지도자와 스포츠 과학자들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운동선수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을 타당성 있게 선정 및 체계화하여 실제 현장적용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선수 개인에 적합한 맞춤형 자기관리 실천전략을 선정하고, 양적, 질적 연구 접근의 통합적 방법을 적용하였다. 참여자는 한국 프로배구팀 중 실력이 유사한 두 팀을 선정하여 실험팀(15명)과 통제팀(10명)으로 구분하여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참여자의 요구, 환경적 요인, 선수별 심리기술 상태 등을 반영)을 6주 동안 적용하였다. 그리고 자기관리 체크리스트에 선수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의 실천여부를 표시하고, 매주 피드백을 제공하여 자신의 실천전략을 수정 및 보완해 나가도록 하였다. 연구 결과 6주간의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은 실험팀의 자기관리능력과 심리기술을 향상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험팀의 몸관리와 훈련관리 영역에서 많은 향상을 보였고, 수행전략의 혼잣말, 감정조절, 그리고 긴장풀기요인 등에서 부분적인 향상이 나타났다. 선수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인 자기관리 체크리스트 분석 결과 선수들은 생활관리, 훈련관리, 정신관리 그리고 고유행동관리 영역의 순으로 실천전략을 세웠으며, 높은 실천빈도를 보였다. 또한 자기관리 중재프로그램의 심리행동적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심층면접을 통해 분석한 결과 자신이 정한 실천전략을 잘 수행했을 때는 자신감과 긍정적인 사고로의 전환이 빨랐으며, 수행하지 못했을 때는 불안과 부정적인 생각 등이 연습이나 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Effects of Self-management Training on Psychological Skills and Self-management Practices in Professional PlayersYoon, Hye sun, Kim, Byoung Jun, Kim, Rang (Inha University)Moon, Yong kwan (Korean Air Jumbos)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6-week self-management (SM) training on professional athletes’ psychological skills and SM practices. Professional volleyball players (n = 15) participated in personalized SM training program. The players set their personal SM goals and recorded things they did to achieve the goals on daily basis. Feedback was given to help them modify and extend each player’s SM practice. Results revealed that the training was effective in enhancing psychological skills and SM behavior. The players reported higher levels of self-talk, emotional control, and relaxation compared to those in the control team (n = 10). SM strategies for physical conditioning, routines, and training were also improved. Areas most frequently practiced included personal life management, training management, and mental skills management. It was found that adherence to personal SM plan was closed linked to self-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

저자
  • 문용관(대한항공 배구단) | Yong Kwan Moon
  • 김랑(인하대학교) | Rang Kim
  • 김병준(인하대학교) | Byoung Jun Kim 교신저자
  • 윤혜선(인하대학교) | Hye Sun Y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