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측정도구 개발 KCI 등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Sports AchievementMotivation Measuremen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8902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여 타당화 검증을 하는데 목적이 있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를 개발하기 위하여 전문가 토론을 거쳐 Hermans(1970), Mehrabian(1968), 김신영(1982), 유창열(1985), 황정규(1984)의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문항을 통합하였고 유아의 면접조사과정을 거쳐 유아에게 적합한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 문항을 추출하였다. 100명의 유아에 대한 예비조사를 토대로 포부수준, 적절한 모험성, 열정성, 성취과제 선호성, 경쟁성, 책임감, 자신감, 인내 요인의 21문항을 선정하였고 서울 지역 국ㆍ공립 유치원 8곳의 만 5, 6세 유아 500명을 대상으로 본 검사를 실시하였다. 부모와의 응답을 통한 유아 250명의 자료에 대하여 문항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주성분분석, 직각회전)과정을 거쳐 5개요인(포부수준, 모험성, 성취과제 선호, 자신감, 인내심)의 15문항을 추출하였다. 탐색적 요인 분석을 통해 가설화된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의 5요인 15문항에 대한 구조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유아 250명에 대한 자료를 추가하여 AMOS 5.0을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최대우도모수 추정 값과 측정 모델에 대한 적합도 지수 등을 토대로 유아의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의 구조는 타당하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유아 스포츠 성취동기 질문지에 대한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r=.68로 적절하게 나타났으며 수행관련체력과의 유의한 상관은 준거관련 타당도를 입증하였다. 다집단 분석을 통하여 스포츠 성취동기는 남녀 유아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으며 스포츠 성취동기의 요인에 대한 잠재평균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 and to verify it's structural validity. To develop a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 achievement measurements items of Hermans(1970), Mehrabian(1968), Kimsinyoung (1982), Yuchangyul(1985), Hwhanjungkyu(1984) were integrated by the discussion of experts. Furthermore by using an interview survey on children,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 items appropriate for children, were extracted. After a pilot study with one hundred children, 21 items were selected, divided over the factors aspiration level, adventurousness, enthusiasm, preference for achievement task, competitiveness, responsibility, self confidence and endurance. 500 Children aged 5, 6 from eight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in Seoul, were investigated in the main research. 15 items divided over 5 factors(aspiration level, adventurousness, achievement task preference, self confidence, endurance) were extracted through an item analysis and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principal component analysis, varimax) of data. The data was gained by having the parents of 500 children questioning their children. To verify the structural validity of 15 items divided over 5 factors of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that was hypothesized by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hat added 250 children's data was operated by AMOS 5.0. Estimated maximum likelihood value and fit indexes of measure model confirm the validity of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s structure by approval level.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 showed appropriate level with r=.68, and it proved that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has a significant relation with performance related fitness. According to the multi-group analysis, the children's sports achievement motivation questionnaire can be used to both boys and girls,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sports achievement factor's average latency.

저자
  • 최문형(중앙대학교) | Moon Hyung Choi 교신저자
  • 유진(중앙대학교) | Jin Y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