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창의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힘으로써 유아의 창의성 향상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을 모색하고 개발 및 적용하는데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충청남도 아산시에 소재하고 있는 어린이집 2개소에 재원중인 만 5세 유아 총 36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A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8명을 실험집단으로, B 어린이집에 재원중인 유아 18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유아의 평균 연령은 5년 7개월이었다. 유아의 창의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전경원(2014)이 개발한 유아종합창의성 검사 ‘K·CCTYC'를 사용하였다. 실험은 8주간 매주 3회씩, 21회에 걸쳐 미술활동을 실시하였으며, 모두 대 · 소그룹형태로 오전 · 오후 자유선택활동 시간에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를 위하여 실험집단의 유아에게는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을 경험하게 하고, 비교집단의 유아들에게는 실험집단과 같은 기간 동안 동일한 재료를 제공하였으며, 누리과정의 생활주제를 기반으로 SCAMPER 기법을 제외한 미술활동을 각각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료의 처리는 연구문제에 따라 SPSS 18.0/ Window 10으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사전, 사후검사를 이용하여 t-검증, 공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은 유아의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은 유아교육 현장에서 유아들이 경험하는 미술활동의 지도방법에 교사의 발문이 창의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따라서 유아교육현장에서 SCAMPER 기법을 적용한 미술활동을 실시한다면 유아의 창의적 능력 향상을 위한 수업으로 효과적 일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application and teaching of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young children 's creativity by explaining the influence of art activities using SCAMPER method on the creativity of 5 - year - 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 children aged 5 years in two nurseries in Asan city, Chungcheongnam - do. A group of 18 children (9 males and 9 females) were used as experimental groups, B group of 18 children (9 males and 9 females) were selected for the comparison group. The mean age of the children was 5 years and 7 months. In order to measure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K․CCTYC' developed by Jeon Kyung - won(2014) was use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21 times in total for 3 weeks every week for 8 weeks from September 18 to November 10, 2017, All of them were conducted in the morning and afternoon free choice activity time in large and small group form. For the experimental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exposed to the SCAMPER technique and the children in the comparative group were given the same materials during the same period of the experimental group. Art activit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ison group, the data were processed by SPSS 18.0/Window 10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 and t-test and covariance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pre-and pos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t activitie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showe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the creativity of young children. The children of experiment group who experienced SCAMPER techniqu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fluency, flexibility, originality, and imagination compared to the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It is concluded that the art activities using the SCAMPER technique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reativity in the instruction method of art activities experienced by children in children education. Therefore, if art activities using SCAMPER technique are performed in the children education field, it will be effective as a lesson for improving children creative abil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