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이해중심게임수업이 중학생의 인지 및 정의적 발달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TGFU) on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4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이해중심게임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중학생의 전술적 게임기술, 문제해결능력, 대인관계기술 및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202명의 남녀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12주간 각각 이해중심게임수업과 기능중심수업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 신뢰성 검증, 독립 t-검증, 반복측정 분산분석, 대응 t-검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이해중심게임수업과 기능중심수업 모두 전술적 게임기술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2)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문제해결능력 중 문제해결 자신감과 개인적 통제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3)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만족감, 의사소통, 신뢰감, 개방성과 이해성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는 반면에, 기능중심수업은 만족감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4) 이해중심게임수업은 비판적 사고자신감, 호기심 및 성숙 수준의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5) 이해중심게임수업 과정에서 교사는 수업준비에 따른 시간부족과 성차로 인한 수업준비, 학생 수준을 고려한 변형게임의 적용, 학생과의 상호작용, 기술수준별 지도 등에서, 학생들은 변형게임의 이해부족과 수준차, 적절한 의사결정을 통한 전술적 문제해결, 동료와의 갈등 및 평가의 부담 등이 문제점으로 인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eaching Games for Understanding (TGFU) on tactical skills, problem-solving ability, interrelationship skill,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A total of 202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for TGFU and control group for skill-based instruction, and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for twelve weeks. Statistical tools wer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test, independent t-test, two-way repeated MANOVA,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Both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showed that their tactical skills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2) Experimental group was increased in the level of self-competence for problem solving and personal control of problem solving abilities. (3) Experimental group were increased in satisfaction, communication, trust, open-mindness, and comprehension of interrelationship skills, whereas control group were increased just in satisfaction. (4) Experimental group was on the increase in self-confidence for critical thinking, inquisitiveness, and maturity. (5) In TGFU classes teacher experienced heavy burdens such as lack of time for class preparation, sexual differences, application of transformed games considering students' level, interaction with students, and instruction by level.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lso perceived several problems lik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ransformed games, differences by skill level, tactical solutions through proper decision-making, conflicts with peers, and evaluation.

저자
  • 박중길(고려대학교) | Jung Gil Park 교신저자
  • 문익수(고려대학교) | Lk Soo Mo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