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여가운동 참가자의 스포츠참여행동 모형 검증 KCI 등재

Verification on the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 and Exercis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257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자결성 이론(Deci & Ryan, 1985)을 근거로 한 동기의 위계모형(Vallerand, 1997, 2001)을 근거로 본 연구자가 설정한 스포츠참여 행동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운동(달리기, 피트니스, 수영 등)과 레저스포츠(골프, 모험스포츠, 라켓운동 등)의 참가자로 만18세-64세(M=36.77세, SD=9.60) 중 1,160명을 조사하였으며, 최종분석은 887명(남 535명, 여 352명)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스포츠 참여행동 모형의 검증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에서의 심리적 욕구만족이 참여동기에 미치는 효과는 매우 높았으며, 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요인 순으로 주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적 욕구만족이 동기의 하위요인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자결성 이론을 지지하는 내적동기(자극추구, 기술학습), 외적동기(건강체력, 사교, 경쟁과시, 몸매관리) 순으로 높았으며, 무동기와는 부적관계를 보였다. 심리적 욕구만족이 행동의 결과 반응인 정서, 인지, 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지속의도, 정서, 인지관여 순으로 높았다. 참여동기가 행동의 결과 반응에 미치는 효과는 정서와 인지는 유의하였으나 지속의도에 미치는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심리적 욕구만족이 동기의 선행변인으로 중요함을 알 수 있는 모형 검증결과이다. 또한 운동상황에서 기본적 심리욕구 만족은 내적동기를 증진시키며, 내적동기의 증진은 긍정적 정서. 인지관여, 지속의도를 증진시킨다는 선행연구를 지지하는 결과였다. 따라서 스포츠 참여를 지속시키고 스포츠에서 웰빙을 추구하기 위해서는 심리적 욕구만족을 증진시키는 전략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yself in order to verify the participation behavior model in sports of participants who are participating in leisure sport and exercises by applying Vallerand's a hierarchical model of motivation (1997, 2001) in the basis of self-determination theory by Deci & Ryan(1985).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it was true that the participating behavior modeling was suitable one. The factor of autonomy, competence, and relatedness belonging to basic psychological needs was β = .87, it is very high, and it is referred to the effectiveness influencing on participation motivation. When we make reference to the participation motivation, IM(stimulus seeking, skill learning)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it was cleared that amotivation was inappropriate. In the effectiveness which basic psychological needs satisfaction can influence on one's intention to continue in sport participation, the result was β = .84, very high, but modulus of affects β = .83, cognition involvement β = .61. In the part of motivation, the effectiveness of motivation influencing on IM was the most high. In the effectiveness which participation motivation can influence on one's affects, the result was β = .35, moderate high, but modulus of cognition involvement β = .29, and very low, intention to continue in participating.

저자
  • 정용각(부산외국어대학교) | Yong Gak Jung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