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의 서브 집중루틴 개발과 적용을 통한 서브 수행향상 KCI 등재

The Improvement of Serve Performance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Serve Concentration Routine of Volleyball Players in Middle School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373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본 연구는 배구선수들의 루틴 사용의 단서를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 면담, 각종 대회의 관찰 등을 통한 질적 연구를 통해 서브 루틴을 개발, 이를 남자 중학교 배구 선수들에게 적용하여 서브 수행루틴 훈련이 서브 수행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배구경력 평균 4년 이상의 엘리트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 15명씩의 두 집단을 대상으로 6차시에 걸친 서브 실험에서 정확도를 측정하였다. 3주차까지는 서브 수행루틴을 적용하지 않았으며 4주차부터 실험집단에게 실험자의 질적 연구를 통해 개발한 서브 수행루틴을 적용하였다. 비교집단은 서브 루틴에 대한 아무런 정보도 제공하지 않았다. 실험 후 평가 결과에 의한 집단 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배구선수들은 행동적 단서와 인지적 단서를 이용한 루틴을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들에게 서브 루틴을 훈련시킨 결과 서브 정확도 면에서 실험집단의 선수들이 서브의 평균 점수에서 비교집단의 선수와 비교하여 우수한 향상을 보였다. 셋째, 두 집단의 선수들의 실험에서의 서브 득점을 t-검증한 결과 5%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서브 루틴을 적용한 실험집단이 출전한 시합에서 선수들의 서브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서브 수행루틴은 남자 중학교 배구선수들의 서브 수행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또한 루틴훈련이 개방운동기술에서도 매우 효과적으로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o see how serve routine training has its effects on the performance of individual volleyball players in middle school. This research was conducted using qualitative techniques that include, but are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interviews, and observation. This study examines thirty male volleyball players who on average have played volleyball for four years and was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is made up of fifteen players; one was selected from K middle school in D city, the other from S middle school in B city. The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six sessions to assess the accuracy of the subjects’ serve. There was no serve performance routine given to the test group until the fourth week. It has been applied using the qualitative research since fourth week. The control group continued on with their serving without any instruction through the course of the full six week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s of the test group improved their ability to use behavioral and cognitive clues. (2) They also improved their serving accuracy exponentially above that of the control group. (3) After t-test, there was a maximum five perce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4) They showed improvement in their overall performance in a competition. In conclusion, the serve performance routine drastically improved students’ overall performance in multiple ways. It has its positive effect on volleyball players as a result of their much more improved overall performance as well as affirmative effect on their open motor skills.

저자
  • 정구인(한국교원대학교) | Koo In Jung 교신저자
  • 장덕선(한국체육대학교) | Duk Sun Chang
  • 황관재(동해광희중학교) | Gwan Jae Hw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