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생활체육참여자의 목표성향에 따른 열정과 끈기 KCI 등재

The Passion and Persistence to the Level of Goal Orientation in Life Sports Participants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40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는 생활체육참여자 336명을 대상으로 성취목표성향과 내적동기와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는 열정과 끈기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데이터 처리는 SPSS 15.0과 AMOS 7.0을 이용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t-test, ANOVA, 위계적 회귀분석, 3x3요인설계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 등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를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생활체육참여자들을 대상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과제성향이나 자아성향 모두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과제성향에서는 성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p >.05), 자아성향에서만 남성들이 여성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 <.05). 둘째, 성별과 참여빈도에 따라 강박열정과 조화열정, 그리고 끈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남성이 여성보다 강박열정(p <.05)과 조화열정(p<.05), 그리고 끈기(p<.001)가 높았고, 생활체육 참여빈도가 높을수록 강박열정(p <.01)과 조화열정(p <.001) 또한 높았다. 셋째, 과제성향과 자아성향을 저, 중, 고로 구분하여 과제성향과 자아성향 수준에 따른 열정과 끈기를 살펴본 결과, 과제성향이 높은 집단이 조화열정(p <.001)과 끈기(p<.05)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아성향이 높은 집단 역시 조화열정(p <.05)과 끈기(p <.001)에서 모두 그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제성향은 강박열정(p <.05)과 조화열정(p<.001), 그리고 끈기(p<.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자아성향 역시 강박열정(p <.01), 조화열정(p<.01), 끈기(p <.001)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대해서는 선행연구와 이론을 토대로 세부적인 논의를 전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goal orientation affects passion and persistence in life sport participants. Three questionnaires, the TEO in sport questionnaire, the passion scale, and persistence scale in TPQ were administered to 336 sport participants. The data were analyzed by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exploratory/confirmatory factor analysis using SPSS/PC+ 15.0 and AMOS 7.0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goal orientation. Bu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task oriented to the goal orientation by gender.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by gender and level of participation. male participants in life sport showed higher score in harmonious passion and obsessive passion to the passion and persistence. Third, the participants with high goal orientation showed high levels of harmonious passion and persistence.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자료처리
  4. 타당도 검증
 Ⅲ. 결 과
  1. 성별, 연령, 참여빈도에 따른 목표성향과 열정, 끈기 비교
  2. 목표성향, 열정, 끈기의 관계
  3. 목표성향 수준에 따른 열정과 끈기
  4. 목표성향과 열정, 끈기의 관계
 Ⅳ. 논 의
 Ⅴ. 결 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김석일(중앙대학교) | Kim, Seok-Il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