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피트니스 프로그램 내 참여자들의 동기부여 촉진전략: 자율성지지와 그 효과 KCI 등재

Implementing as Autonomy-Supportive Fitness Program to Facilitate Students' Autonomy and Engagement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468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최근 스포츠와 체육 분야에서 가장 널리 활용되는 동기이론 중 자기결정이론은 사회적 요소인 학습 환경이 활동에 참여하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이들 욕구는 동기를 비롯한 인지, 정서, 행동 결과에 긍정적 혹은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친다는 가정을 전제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환경 내 지도자에 의한 자율성 지지는 학생들의 심리적 욕구, 자기결정동기 및 인지, 정서, 행동과 관계가 있다는 근거를 토대로 하여 자율성 지지(Reeve, 2002)의 정의와 내포하는 의미를 검토한다. 그리고 이를 현장의 피트니스 프로그램에 적용하여 지도자에 의해 조성된 자율성지지 환경이 학생 참여자들의 심리적 욕구인 자율성, 유능성, 관계성, 자기결정동기, 및 정서-행동적 참여인 즐거움과 노력 등 미래의 신체활동에 미치는 영향력과 효과를 검증한다. 독립표본 t-검정 결과, 자율성 지지를 적용한 피트니스 프로그램의 중재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율성지지, 자율성, 자기결정 동기(내적동기, 확인규제), 정서적 및 행동적 참여(즐거움/재미와 노력)에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으며, 자율성 지지의 영향력과 효과는 두 집단 간의 비교를 통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결정이론의 현장적용 가능성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가 이루어졌다.

Literature in sport and physical education has focused on motivation during last decades. One of well-known and insightful theories in motivation studies is self-determination theory (Deci & Ryan, 1985, 2000; Ryan & Deci, 2002) in the field of sport and physical activity.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help our understanding of the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and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autonomy support on students'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self-determined motivation, emotional-behavioral engagement, and inten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in fitness program. Two groups were divided as control (controlling way manipulated) and experimental group (autonomy support treated) in six-week fitness program. The result of t-test demonstrated that the difference between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N=13) and those in control group(N=15) was significant. Students whose autonomy were supported in experimental group increased the perception of autonomy-supportive environment, autonomy, autonomous motivation (identified regulation), and emotional-behavioral engagement (enjoyment and effort), compared with students in control group of which controlling way was adopted in fitness program. The results indicated that supporting student's autonomy in fitness program could not only enhance students' psychological needs, especially the need for autonomy but also promote their autonomous motivation, and emotional-behavioral engagement. The discussion focuses on the impact and the motivational role of autonomy support, and it provides the practical implication and future studies in physical domain.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참여자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처리
 Ⅲ. 결 과
  1. 동질성 검증
  2. 기술 통계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천승현(고려대학교) | Cheon, Sung-Hyeon 교신저자
  • 문익수(고려대학교) | Moon, Ik-S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