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자율성지지 방식의 당위성 제시가 신체활동 무동기 상태 학생들의 확인규제와 의도에 미치는 효과 KCI 등재

The Effects of Providing Rationales in Autonomy-supportive Ways upon the Identified Regulation and Intention of Amotivated Students toward Physical Activity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59505
서비스가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KJSP))
한국스포츠심리학회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초록

이 연구에서는 자기결정이론에 근거한 확인규제 모형을 토대로 운동이나 신체활동 자체에 관심이 없는 학생들에게 인지적-행동적 참여를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으로 자율성지지 접근의 당위성 제시를 활용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남학생, n=17)들이 통재집단 내 학생들(남학생, n=20)에 비해 자율성지지 환경인식, 확인규제, 의도에서 향상을 보였으며, 무동기에서는 소폭의 감소를 보였다. 특히, 지각된 자율성지지와 확인 규제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더불어, 당위성 제시의 효과에 대한 사회적 타당도를 확보하기 위해 집중 그룹 인터뷰를 실시한 결과 중재집단 내 학생들은 첫째, 신체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 둘째, 상호 간의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의 형성, 그리고 셋째, 개인차에 따른 미래 신체활동에 대한 의도를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현장적용 가능성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Drawing from self-determination theory,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explanatory rationales in autonomy-supportive way on students' motivation and future intention toward an uninteresting physical activity. Students(n=17) in experimental group and students(n=20) in control group were randomly assigned and participated in 5 week instructional program of which was dealt with the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Students on self-determination theory-based program in experimental group received rationales in autonomy-supportive way and others in control group took the lesson (importance of physical activity) with typical one-way communication teaching style by the instructor. As a resul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autonomy support and identified regulation between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and students of control group. In addition,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compared to students in control group showed higher inten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and decreases of amotivation. Finally, the data from focus group interview among students of experimental group revealed that 1) changes of their perception toward physical activity in the positive way, 2) the development of social relationship among them, 3) future intention toward physical activity/exercise were occurred after self-determination-based intervention program.

목차
국문초록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1. 참여자
  2. 측정 도구
  3. 연구 절차
  4. 자료 분석
 Ⅲ. 연구 결과
  1. 사전 동질성 검증, 신뢰도 및 기술통계
  2. 집단 간 차이 검증
  3. 질적 분석 내용: 사회적 타당도 검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천승현(고려대학교) | Cheon, Sung-Hyeon 교신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