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상세보기

전라도 지역 논벼에서 비래해충 개체군 분포의 공간패턴분석 KCI 등재

Spatial Pattern Analysis for Distribution of Migratory Insect Pests at Paddy Field in Jeolla-province

  • 언어KOR
  • URLhttps://db.koreascholar.com/Article/Detail/362380
구독 기관 인증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300원
한국응용곤충학회지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한국응용곤충학회 (Korean Society Of Applied Entomology)
초록

비래해충 개체군은 중국 남쪽에서 제트기류를 타고 한국으로 유입되는 해충이다.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벼멸구(Nilaparvata lugens), 흰등멸구(Sogatella furcifera), 멸강나방(Mythimna separata), 혹명나방(Cnaphalocrocis medinalis)은 주요 비래해충 5종으로 주요 작물인 벼에 피해를 주기에 중요하다. 이 연구는 2016년 7월 하순에서 9월 상순, 2017년 7월에서 8월까지 전라도의 벼논에서 하였다. 멸강나방과 혹명나방은 페로몬 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였고, 벼멸구, 흰등멸구, 애멸구는 육안 조사, 포충망 조사, 끈끈이 트랩을 사용하여 채집하였다. 비래해충을 분석 하기 위해 공간통계학 중 SADIE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를 사용하였다. SADIE는 사용하여 공간분포 및 집중지수 Ia를 분석 하였고, 클러스터지수 Vi, Vj를 사용하여 공간분포를 조사하였다. 또한, 클러스터지수는 red-blue plot를 사용하여 지도 위에 나타내었다. 멸강나 방과 혹명나방은 SADIE 공간 집중 분석, red-blue plot 분석에서 다른 분포를 보였다. 애멸구와 다른 멸구의 초기 공간분포는 표본 추출 위치와 시간이 다르게 나타났다.

Migratory insect pest populations migrate from the southern China to Korea through jet streams. In Korea, 5 major migratory insect species are important, i.e. Nilaparvata lugens, Sogatella furcifera, Laodelphax striatellus, Cnaphalocrocis medinalis and Mythimma separate, which are damages to the major crops, ric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late July 2016 to early September 2016 and from July 2017 to August 2017 in rice paddy of Jeolla-province. C. medinalis and M. separata collected using pheromone traps, while N. lugens, S. furcifera and L. striatellus collected using 3 methods (visual surveys, sweeping surveys, sticky traps). SADIE (Spatial Analysis by Distance IndicEs) among geostatistics was used to analyze migratory insect pests. SADIE was used to analyze spatial distribution and index of aggregation Ia, index of clustering Vi, Vj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spatial distribution. Also, the clustering indices were mapped as red-blue plot. C. medinalis and M. separata showed different distribution based on SADIE spatial aggregation analysis and red-blue plot analysis. Initial spatial distributions of L. striatellus and other planthoppers were differed for sampling location and time.

목차
ABSTRACT
 초 록
 재료 및 방법
  조사지역 및 조사시기
  조사방법
  조사된 비래해충의 공간 분포 분석
 결과 및 고찰
  지역 별 비래해충 발생 양상
  비래해충의 공간 분포 분석
 Literature Cited
저자
  • 박태철(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Taechul Park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최호정(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Hojeong Choe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장호중(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 Hojung Jang (Department of Plant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김광호(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작물보호과) | Kwang Ho Kim (Department of Agro-food Safety and Crop Protection,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s,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박정준(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 Jung-Joon Park (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