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산업에서 가공용 또는 혼반용 등으로 활용 가능한 우수한 품종 선정의 일환으로 국내 육성 현미 품종에 대해 일반성분, 기능성분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수분, 조회분, 조지방, 조단백 및 탄수화물 등 일반성분 함량은 품종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현미 품종별 phytic acid 함량은 단미 품종이 10.87 mg/g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현품 품종이 7.39 mg/g으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페놀 성분과 radical 소거활성, FRAP 활성은 유색미 품종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현미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조은흑미 품종이 각각 615.25 μg GAE/g 및 267.75 μg CE/g으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건강홍미 품종은 각각 311.14 μg GAE/g 및 100.67 μg CE/g으로 조사되었다. 현미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건강홍미, 조은흑미 및 흑광 품종이 각각 89.17, 87.94 및 43.17%로 나타났고, ABTS radical 소거활성은 각각 113.57, 113.34 및 93.53 μmol TE/g, FRAP 활성은 각각 951.67, 1,075.75 및 508.33 μM/g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 유색미 현미가 높은 페놀 성분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보여 이를 이용한 기능성 소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investigated chemical components, antioxidant compounds, and activity of brown rice cultivars, to select good cultivar to be used for processing of mixed-rice in the food industry. Proximate compositions, phytic acid,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brown ric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Moisture, crude ash, fat, protein, and carbohydrate contents of brown rice were 9.51~12.82, 1.05~1.93, 1.84~6.24, 5.90~9.60 and 71.75~80.34 g/100 g, respectively. Phytic acid content of brown rice cultivars was 7.39~0.87 mg/g. Total polyphenol content of Joeunheukmi and Geonganghongmi cultivars, were 615.25 and 311.14 μg GAE/g, total flavonoid content was 267.75 and 100.67 μg CE/g, respectively.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onganghongmi, Joeunheukmi and Hyeugkwang cultivars was 89.17, 87.94 and 43.17%,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13.57, 113.34, and 93.53 μmol TE/g, and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tential was 951.67, 1,075.75, and 508.33 μM/g, respectively. As a result, phenolic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igmented brown rice were high, and it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material.